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청주지법 2014. 7. 18. 선고 2014노46 판결
[수질및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위반·폐기물관리법위반] 확정[각공2014하,795]
Main Issues

[1] The meaning of "discharge of water pollutants" prohibited under the former part of Article 38 (1) 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

[2] In a case where the Defendant, the head of the factory team of the Company A, was indicted for violating the former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 on the ground that he laid water-quality pollutants in the water flow control facilities in the factory, laid down water-quality pollutants in the water supply control facilities in the middle of the factory, laid down the water-quality pollutants that flowed from the above speaks into the river adjacent to the river, and subsequently discharged water-quality pollutants that flowed into the prevention facilitie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nal outlet, the case holding that the Defendant’s act constitutes “the act of discharging water-quality pollutants” prohibited

Summary of Judgment

[1] In comprehensively interpreting various provisions of the former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 (amended by Act No. 11979, Jul. 30, 2013; hereinafter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nd relevant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prohibited under the former part of Article 38(1)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refers to an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flowing into prevention facilities out of prevention facilitie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nal outlet. It is reasonable to deem that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flowing out of prevention facilities does not necessarily mean an act of letting water pollutants flowing out of prevention facilities flow out of public waters. Furthermore, even if water pollutants emitted out of prevention facilities for improving or repairing prevention facilities, it does not mean that wastewater containing water pollutants flow out of prevention facilities have gone through the procedure under the water quality preservation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such as the entrusted treatment of wastewater treatment to a person who submitted an improvement plan in advance and registered under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2] 갑 주식회사의 공장 팀장인 피고인이 공장 내 유량조정시설에서 수질오염물질인 묽은 슬러지(폐수처리오니)를 꺼내어 자루에 담고, 위 자루에서 흘러나온 침출수를 인근 하천으로 연결된 우수구 맨홀에 모았다가 다시 위 유량조정시설에 유입시킴으로써 방지시설에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배출하였다고 하여 구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2013. 7. 30. 법률 제1197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수질보전법’이라 한다)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제반 사정에 비추어 피고인의 일련의 행위는 방지시설에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방지시설 밖으로 내보내는 행위로서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제2호 전단에서 금지하는 ‘수질오염물질 배출행위’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이와 달리 보아 무죄를 인정한 제1심판결에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제2호 에서 정한 수질오염물질 배출행위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Reference Provisions]

[1] Articles 1, 2 subparag. 7, 9, 10, 11, 12, 15(1), 35(1), and 38(1)2, and 76 subparag. 2 (see current Article 76 subparag. 3), and 40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 (Amended by Act No. 11979, Jul. 30, 201); Article 33 subparag. 2, and 40 of the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 Article 5 of the Enforcement Rule of the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 (Amended by Act No. 11979, Jan. 29, 2014); Article 71 subparag. 4, and Article 38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mended by Act No. 543, Jan. 29, 201); Article 5 of the former Enforcement Rule of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mended by Act No. 5720, Jan. 1, 2019)

Escopics

Defendant

Appellant. An appellant

Prosecutor

Prosecutor

Sung-gu et al. and one other

Defense Counsel

Law Firm Barun, Attorney Choi Li-ri

Judgment of the lower court

Cheongju District Court Decision 2012Ma1565 decided January 16, 2014

Text

The judgment of the court below is reversed.

Defendant shall be punished by a fine of 16,000,000 won.

When the defendant fails to pay the above fine, the defendant shall be confined in a workhouse for the period converted by one day.

The defendant shall be ordered to pay an amount equivalent to the above fine by provisional payment.

Reasons

1. Summary of grounds for appeal;

The Defendant’s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into prevention facilities prescribed by Article 38(1)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 (amended by Act No. 11979, Jul. 30, 2013; hereinafter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inasmuch as sludges containing water pollutants were cut out in the first process stage of wate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and discharged outside the wate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Nevertheless, the lower court interpreted that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was limited to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into public waters by flowing the concept of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under the above Act into public waters; on the grounds that there is no evidence to acknowledge that the Defendant did not flow out to public waters, the lower court acquitted the Defendant of the part on the violation of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mong the facts charged in the instant case on the ground that there is no evidence to acknowledge that the Defendant flow out to public waters. In so doing, the lower court erred by misapprehending the legal doctrin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prohibited under Article 38(1)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thereby affecting

2. Determination

A. Summary of violation of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mong the facts charged in the instant case

According to the contents permitted by the Do governor with respect to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preventive facilities at the ○○ Factory Co., Ltd., 1, the wastewater was stored in the flow control facilities, and each reaction facilities, response collection facilities, bed facilities, bed facilities, concentration facilities, and ph control facilities, respectively, and the fin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should be discharged into the fin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2. 6. 8.부터 같은 달 14일 10:30경까지 위 공장 내의 유량조정시설에서, 위와 같은 처리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특정수질유해물질인 구리, 수질오염물질인 망간, 니켈, 부유물질, ABS(음이온계면활성제), TN(총질소), TP(총인) 등이 함유된 수질오염물질인 묽은 슬러지(폐수처리오니) 약 120톤을 이동식 자바라 호스 및 탱크로리 차량을 이용하여 탱크로리 차량에 채운 후 용량 1㎥의 자루에 담았다.

이어 피고인은 위 일시경 위와 같이 묽은 슬러지를 무단 배출하여 자루에 담은 결과 슬러지의 침출수가 공장 건물 주변에 흩어지자, 이를 씻어내기 위하여 수돗물을 0.6㎥를 분사하여 침출수와 수돗물이 혼합된 액체를 인근 하천으로 연결된 우수구 맨홀에 모은 다음, 이동식 호스와 모터를 이용하여 이를 다시 위 유량조정시설에 넣어 기존에 있던 폐수와 섞었다.

Accordingly, the defendant discharged water pollutants flowing into prevention facilitie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nal discharge outlet.

B. The judgment of the court below

The lower court rendered a not guilty verdict on this part of the facts charged on the following ground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is to protect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s from pollution (Article 1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rticle 15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regulates “the act of dumping wastes, sludge, etc. into public waters” as the title “the act of discharging, etc.” It appears that the act of discharging, leaking, or dumping wastes into public waters seems to be simply distinguishable from the act of discharging, etc. The Sewerage Act prohibits the act of discharging, “discharge without permission” and “interim discharging without permission” (Articles 19 and 39 of the Sewerage Act), and the Act on the Management and Use of Livestock Excreta (hereinafter “the Livestock Excreta Act”) also prohibits “the intermediate discharging” from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quality pollutants in public waters” (Article 17 of the same Act) and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quality pollutants in public waters under the premise of discharging them into public waters” and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quality pollutants in public waters again constitutes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quality pollutants into public waters” under the former part of Article 8(1)1)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instead of the act.

C. Judgment of the court below

1) The meaning of “discharge of water pollutants” prohibited under the former part of Article 38(1)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 penal provision shall be strictly interpreted and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and text, and shall not be excessively expanded or analogically interpreted in the direction unfavorable to the defendant. However, in the interpretation of a penal provision, a teleological interpretation in light of the legislative intent and purpose, legislative history, etc. of the law shall not be excluded unless it goes beyond the ordinary meaning of the legal text (see, e.g., Supreme Court Decisions 2002Do2363, Jan. 10, 2003; 2001Do2819, Feb. 21, 2002).

We examine whether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prohibited under the former part of Article 38(1)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is limited to the act of allowing water pollutants to flow into public water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nal discharge outlet.

① 구 수질보전법은 수질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를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국민으로 하여금 그 혜택을 널리 향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래의 세대에게 승계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점( 구 수질보전법 제1조 ), ② 구 수질보전법상의 폐수배출시설은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물·기계·기구 그 밖의 물체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고, 수질오염물질을 공공수역에 배출하는 시설로 한정하고 있지 아니한 점[ 구 수질보전법 제2조 제10호 . 2000. 1. 21. 법률 제6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수질환경보전법 제2조 제5호 에서는 폐수배출시설을 ‘수질오염물질을 공공수역에 배출하는 시설물·기계·기구 기타 물체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었으나, 2000. 1. 21. 개정된 수질환경보전법(2000. 10. 22. 시행) 제2조 제5호 에서는 폐수배출시설을 정의하면서 위 규정에서 ‘공공수역에’라는 부분을 삭제하였다], ③ 수질보전법령상 공공수역이란 하천, 호소, 항만, 연안해역, 그 밖에 공공용으로 사용되는 수역과 이에 접속하여 공공용에 사용되는 지하수로, 농업용 수로, 하수관거, 운하를 의미하고( 구 수질보전법 제2조 제9호 ), 수질오염방지시설이란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점( 구 수질보전법 제2조 제12호 , 수질보전법 시행규칙 제5조 ), ④ 구 수질보전법상 수질오염방지시설에 유입된 폐수는 방지시설의 기능 및 공정에 따라 수질오염물질이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감소된 상태에서 최종 방류구를 거쳐 배출되어야 하고,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각 호 는 사업자 또는 방지시설을 운영하는 사람이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정상적으로 운영하지 아니하고 수질오염물질을 그대로 외부에 배출하거나, 수질오염물질을 제대로 처리하지 아니하고 외부에 배출하는 행위를 처벌하기 위한 규정인 점, ⑤ 수질오염물질이 공공수역에 직접 흘러들어가게 하지 않더라도 배출시설이나 방지시설을 정상적으로 가동·운영하지 아니한 채 방지시설에 유입되지 아니하거나 방지시설에 유입되더라도 방지시설에서 정한 각 공정을 정상적으로 거치지 아니한 채 방지시설의 중간 단계에서 수질오염물질을 방지시설 밖으로 내보낸 후 사업장 인근의 야산이나 사업장 안팎의 공터 등에 살포되거나 투기·매립됨으로써 하수관거나 지하수로, 농로 등 공공수역에 결국 유입되거나 또는 폐기물처리업자 등에게 인계되어 임의로 처리되는 과정에서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를 오염시키는 행위를 규제할 필요성이 적지 아니한 점, ⑥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제2호 는 행위주체를 사업자 또는 방지시설을 운영하는 자로 한정하고 있는 데 반하여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장소를 특별히 공공수역으로 한정하고 있지는 아니한 점[ 1993. 12. 27. 법률 제4653호로 개정되기 전의 수질환경보전법 제15조 는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같은 법 제8조 의 규정에 의한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도록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을 정상운영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다가, 1993. 12. 27. 개정된 수질환경보전법(1994. 6. 28. 시행) 제15조 제1항 각 호 에서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각 호 와 같이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을 운영함에 있어서 사업자 또는 그 운영자가 하여서는 아니되는 행위를 개별적, 구체적으로 명시하였으나, 이후 여러 차례의 개정과정에서 특별히 배출장소를 공공수역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하였다], ⑦ 구 수질보전법 제15조 제1항 주2) 은 행위 주체의 제한 없이 특정수질유해물질, 폐기물관리법상 지정폐기물 등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를 관리·보전하는 데 유해한 물질이 공공수역( 제3호 의 경우에는 하천·호소에 한정)에 직접 흘러들어가게 하는 행위를 특별히 규제하기 위하여 배출장소를 공공수역으로 명시한 것으로 이해되고(따라서 사업자 또는 방지시설을 운영하는 자가 방지시설에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배출함에 있어서 공공수역에 직접 누출·유출하거나 버리는 행위에 대하여는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제2호 외에 같은 법 제15조 위반에 따른 처벌규정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반면 같은 법 제38조 제1항 제2호 전단에서의 배출행위를 공공수역으로의 유출을 전제하거나 그러한 행위로 제한된다고 본다면, 동일한 행위에 대하여 제38조 제1항 제2호 전단의 금지규정과 같은 법 제15조 제1항 의 규정이 처음부터 이중으로 적용될 우려가 있다), 한편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2항 제1호 가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설치허가 등을 받은 사업자에 대하여 폐수무방류배출시설에서 나오는 폐수를 사업장 밖으로 반출하거나 공공수역으로 배출하는 행위를 금지하면서 ‘사업장 밖으로 반출’ 내지는 ‘공공수역으로 배출’이라는 문언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이 폐수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당해 사업장 안에서 수질오염방지시설을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동일 배출시설에 재이용하는 등 공공수역으로 배출하지 아니하는 폐수배출시설을 말하는 점에 비추어( 구 수질보전법 제2조 제11호 ), 위 법규정을 위반하여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을 운영하는 경우, 즉 폐수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사업장 밖으로 반출하거나 공공수역으로 배출하는 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므로 구 수질보전법 제15조 제1항 이나 제38조 제2항 제1호 의 규정을 들어 같은 법 제38조 제1항 제2호 전단에 정한 배출행위가 공공수역으로 수질오염물질이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행위로 제한되어야 한다거나 공공수역으로의 유출을 전제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는 점, ⑧ 하수도법, 가축분뇨법 등 수질보호와 관련된 법률이 개인하수처리시설에 유입되는 오수를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중간배출하거나 가축분뇨처리시설에 유입되는 가축분뇨를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한 상태로 중간배출하는 행위를 금지함에 있어서 배출이라는 용어와는 별도로 중간배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여( 하수도법 제39조 제1항 제2호 , 가축분뇨법 제17조 제1항 제2호 ) 당해 법률에서 또는 수질보전법에서 사용하는 ‘배출행위’를 반드시 공공수역에의 방류를 전제로 하는 행위라고 보기 주3) 어렵고,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제2호 의 ‘배출행위’를 공공수역으로 흘러들어가게 하는 행위로 한정하여 해석할 경우, 개인하수처리시설 내지 가축분뇨처리시설의 경우에 있어서는 공공수역에 직접 흘러들어가게 하지 않더라도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방지시설에 따른 공정 중간에 오수나 가축분뇨를 배출하는 행위를 처벌하면서 그에 비하여 규모 및 오염정도의 측면에서 위험성이 큰 수질오염물질의 배출 사업자 또는 방지시설 운영자가 공공수역으로 직접 흘러들어가게 하지 않더라도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한 채 방지시설 밖으로 수질오염물질을 내보내는 행위를 처벌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점, ⑨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정도가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등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을 개선·변경 또는 보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환경부장관에게 개선사유, 개선기간, 개선내용, 개선기간 중의 수질오염물질 예상배출량 및 배출농도 등을 적은 개선계획서를 제출한 후 배출시설 등을 개선할 수 있고, 개선을 마친 이후에는 개선완료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담당 공무원은 개선내용, 개선결과 및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등을 확인하여야 하고( 구 수질보전법 제35조 제1항 단서, 수질보전법 시행령 제40조 ), 방지시설의 개선이나 보수 등과 관련하여 배출되는 폐수로서 시·도지사와 사전협의된 기간에만 배출되는 폐수에 대하여는 폐수처리업의 등록을 한 자 또는 환경부장관이 인정하여 고시하는 관계전문기관에 전량 위탁처리할 수 있는 점( 수질보전법 시행령 제33조 제2호 , 수질보전법 시행규칙 제41조 제4호 ) 등을 종합하여 보면,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제2호 전단에서 금지하는 ‘수질오염물질 배출행위’는 방지시설에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방지시설 안에서 방지시설 밖으로 내보내는 행위를 의미한다고 봄이 상당하고, 이와 달리 방지시설 밖으로 내보낸 수질오염물질을 반드시 공공수역으로 흘러들어가게 하는 행위로 제한할 것은 아니며, 나아가 방지시설의 개선이나 보수 등을 위하여 수질오염물질이 함유된 폐수를 방지시설 밖으로 내보내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수질보전법령에 따라 사전에 개선계획서를 제출하고 폐수처리업의 등록을 한 자에게 위탁처리하는 등 수질보전법령에 따른 절차를 거쳤다고 볼 만한 사정이 없는 한 달리 볼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2) Whether the Defendant’s act constitutes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under the former part of Article 38(1)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조사한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의 사정들, 즉 ① 당초 공소외 1 주식회사의 ○○공장에 허가된 수질오염 방지시설의 처리절차에 의하면 위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유량조정시설(방지시설의 최초 공정이다)로 집수한 후, 각 반응시설, 응집시설, 침전시설, ph조정시설을 거쳐 폐수 속의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낮추어 방류수조를 통해 폐수종말처리장으로 최종 방류하는 한편, 위와 같은 폐수처리공정에서 제거된 수질오염물질과 폐수처리용 약품이 뭉쳐진 슬러지는 침전시설에서 침전된 후 농축시설 및 탈수시설을 거쳐 별도의 폐기물 보관장소에 보관되다가(탈수시설에서 슬러지를 탈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여액은 다시 유량조정시설로 유입된다)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폐기물처리업자에 의하여 폐기물 매립장에 위생매립하도록 되어 있는 점, ② 피고인은 이동식 자바라 호스와 탱크로리 차량을 이용하여 유량조정시설 내에 있던 묽은 슬러지 약 120톤을 위 공장의 유량조정시설 밖으로 꺼내어 용량 1㎥의 자루에 차례로 담은 다음 그 주4) 자루 를 지붕이나 벽면이 없는 사업장 내 우수로 맨홀 근처에 그대로 방치하였고, 위 자루에서 흘러나온 주5) 침출수 가 콘크리트 바닥을 더럽히자 이를 씻어내기 위하여 수돗물을 분사하여 침출수와 수돗물이 혼합된 액체를 우수로 맨홀로 모으는 한편, 침출수가 어느 정도 흘러내린 위 자루를 암롤박스(철재 적재함)에 보관하면서 암롤박스 내부에 생긴 침출수를 이동식 자바라 호스와 모터를 이용하여 우수로 맨홀로 모은 다음 다시 위 이동식 자바라 호스와 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조정시설로 주6) 유입시켰으며, 침출수가 흘러내린 위 자루 안의 슬러지는 방지시설에 다시 유입하지 아니한 채 그대로 폐기물 처리업체를 통하여 사업장 밖으로 내보내 이를 처리한 점(따라서 위 자루를 방지시설 밖의 콘크리트 바닥이나 암롤박스 내에 그냥 쌓아두는 과정에서 빠져나간 침출수를 제외한 위 자루 속의 수질오염물질은 방지시설의 폐수처리공정을 전혀 거치지 아니하였다), ③ 피고인의 주장과 같이 위 공장의 유량조정시설 내부의 블로워(blower) 설비(바람을 불러일으켜 침전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설비)가 노후되어 유량조정시설의 바닥에 슬러지가 쌓임으로써 유량조정시설의 폐수 집수용량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유량조정시설을 비롯한 방지시설의 개선이나 보수가 필요하였다면, 앞서 본 바와 같이 수질보전법령에 따라 방지시설의 개선 조치를 취하는 한편 그 과정에서 수질오염방지시설의 개선이나 보수 등과 관련하여 배출되는 폐수에 대하여 폐수처리업자 등을 통하여 위탁·처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④ 피고인은 2008. 11.경 위 공장의 탈수시설에서 채취한 슬러지 샘플과 2011. 5.경 위 공장의 유량조정시설에서 채취한 슬러지 샘플의 분석결과를 들어 신고된 방지시설의 폐수처리공정을 거친 슬러지와 이 사건과 같이 유량조정시설에서 바로 꺼낸 슬러지 사이에 성분상의 차이가 없다는 취지로 주장하나, 이 사건과 같이 정상적인 폐수처리공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유량조정시설에서 빼낸 슬러지와 신고된 처리공정을 거친 슬러지 사이에 수질오염물질의 성분이나 그 함량 등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없는 점[피고인이 2011. 5.경 이 사건 공장의 유량조정시설에서 채취한 슬러지의 분석결과라면서 제출한 시험성적서(2014. 7. 3.자 변론요지서 첨부 참고자료 2)는 유량조정시설에서 빼낸 슬러지가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폐기물로서의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와 관련하여 주7)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에 따른 검사를 한 결과인 데 반하여, 이 사건 단속 당시 위 공장 바닥에 적치된 슬러지 자루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에 대하여는 주8)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에 따른 검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고 그에 따라 검사항목이 대부분 다른 점, 일부 동일한 항목의 경우에도 이 사건 단속 직후 실시된 위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에 따른 검사결과와 피고인이 제출한 위 시험성적서에 나타난 검사결과 사이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점{예컨대, 구리(Cu)의 경우에 이 사건 단속 직후 실시된 위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에 따른 검사에서는 2.880㎎/L으로 나타났던 반면, 피고인이 2011. 5.경 유량조정시설에서 채취한 슬러지의 분석결과라면서 제출한 시험성적서에는 0.673㎎/L로 기재되어 있고, 피고인이 2008. 11.경 위 공장의 탈수시설에서 채취한 슬러지 샘플의 분석결과라면서 제출한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 따른 시험성적서에는 0.750㎎/L로 나타났다(수사기록 104면, 2014. 7. 3.자 변론요지서 첨부 참고자료 1. 2)} 등에 비추어 위 공장의 폐수처리공정을 거치기 전후의 슬러지 사이에서 수질오염물질의 성분이나 함량에 별 차이가 없다고 보기 어렵다], ⑤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각 호 의 입법 취지, 즉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사람이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정상적으로 운영하지 아니하고 수질오염물질을 그대로 외부에 배출하거나, 수질오염물질을 제대로 처리하지 아니하고 외부에 배출하는 행위를 처벌하기 위한 규정인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피고인의 위와 같은 일련의 행위는 방지시설에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아니하고 방지시설 밖으로 내보내는 행위로서 구 수질보전법 제38조 제1항 제2호 전단에서 금지하는 ‘수질오염물질 배출행위’에 해당하고, 당초 유량조정시설에서 꺼낸 수질오염물질이 포함된 묽은 슬러지 중 이를 담은 자루에서 흘러나온 침출수를 우수로 맨홀에 모은 다음 유량조정시설에 다시 넣었다고 하여 달리 볼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D. Sub-committee

Therefore, the judgment of the court below which acquitted the Defendant on the violation of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mong the charges of this case is erroneous in the misapprehension of legal principles a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 of discharging water pollutants under Article 38 (1) 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which affected the conclusion of the judgment. Thus,

3. Conclusion

Therefore, the part concerning the violation of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which was acquitted by the court below, among the facts charged in this case, cannot be reversed for the same reason as seen earlier. Since the part concerning the violation of the Wastes Control Act, which the court below found guilty, should be reversed for concurrent crimes under the former part of Article 37 of the Criminal Act

Therefore, the judgment of the court below is revers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364(6)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following is ruled again after pleading.

Criminal facts

The Defendant, as the team leader of Nonindicted Co. 1, 1, engaged in the PCB circuit board manufacturing business, etc. in Cheongju-si (hereinafter omitted), is in charge of affair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personnel, and general affairs while staying in ○○ factory.

[Violation of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permission obtained from the Cheongbuk-do Governor in relation to the processing procedures of preventive facilities in the above factory, wastewater shall be stored in the flow control facility, and each reaction facility, response collection facility, sedimentation facility, concentration facility, and ph control facility shall be installed, respectively, and finally discharged into the wastewater terminal treatment facility.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2. 6. 8.부터 같은 달 14일 10:30경까지 위 공장 내의 유량조정시설에서, 위와 같은 처리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특정수질유해물질인 구리, 수질오염물질인 망간, 니켈, 부유물질, ABS(음이온계면활성제), TN(총질소), TP(총인) 등이 함유된 수질오염물질인 묽은 슬러지(폐수처리오니) 약 120톤을 이동식 자바라 호스 및 탱크로리 차량을 이용하여 탱크로리 차량에 채운 후 용량 1㎥의 자루에 담았다.

이어 피고인은 위 일시경 위와 같이 묽은 슬러지를 무단 배출하여 슬러지를 자루에 담은 결과 슬러지의 침출수가 공장 건물 주변에 흩어지자, 이를 씻어내기 위하여 수돗물을 0.6㎥를 분사하여 침출수와 수돗물이 혼합된 액체를 인근 하천으로 연결된 우수구 맨홀에 모은 다음, 이동식 호스와 모터를 이용하여 이를 다시 위 유량조정시설에 넣어 기존에 있던 폐수와 섞었다.

Accordingly, the defendant discharged water pollutants flowing into prevention facilitie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nal discharge outlet.

[Violation of the Wastes Control Act]

피고인은 위 일시, 장소에서 위와 같이 무단으로 배출한 묽은 슬러지를 담은 용량 1㎥의 자루 7개를 지붕이나 벽면이 없는 공간인 우수구 맨홀 주변에 방치하고 위 자루 20개를 암롤박스(철제 적재함) 내에 방치하여, 각 침출수가 유출되어 위 공장 주변 콘크리트 바닥 50㎡ 및 우수구 맨홀에 흘러 주변 환경을 오염시켰다.

Summary of Evidence

1. Partial statement of the defendant;

1. Each of the original judgments made by the witness Nonindicted 2 and 3

1. Results of field inspection by the original court;

1. Each prosecutorial suspect interrogation protocol against Nonindicted 4 and Defendant

1. The prosecutor’s statement concerning Nonindicted 5

1. Each written confirmation of violation (investigative records Nos. 1-2, 5 pages);

1. On-site photographs;

1. Information about the result of the pollution level of wastes;

1. Investigation reports (the result of the inspection of pollution level of wastes);

1. A report on investigation;

Application of Statutes

1. Article relevant to the facts constituting an offense and the selection of punishment;

Article 76 Subparag. 2 and Article 38(1)2 of the former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 (Amended by Act No. 11979, Jul. 30, 2013); Article 66 Subparag. 1 and Article 13(1) of the former Wastes Control Act (Amended by Act No. 12321, Jan. 21, 2014);

1. Aggravation for concurrent crimes;

The former part of Article 37, Article 38(1)2, and Article 50 (Limits to Total Amount) of the Criminal Act

1. Detention in a workhouse;

Articles 70 and 69(2) of the Criminal Act

1. Order of provisional payment;

Article 334(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Reasons for sentencing

이 사건 범행은 피고인이 유량조정시설의 폐수 집수용량을 개선·보수한다는 이유로 임의로 유량조정시설에서 수질오염물질이 함유된 약 120톤의 묽은 슬러지를 배출하여 자루에 담은 다음, 이를 침출수 집수조가 설치되어 있는 폐기물 보관장소에 보관하거나 위 자루에서 흘러나온 침출수를 직접 유량조정시설로 유입하지 아니한 채 지붕이나 벽면이 없는 사업장 내 콘크리트 바닥에 방치하는 한편 위 자루에서 흘러나온 침출수를 밸브만 열면 인근 하천으로 연결되는 우수로 맨홀로 유입시킴으로써 주변 환경을 오염시켰을 뿐만 아니라 자루 안에 담겨진 다량의 슬러지에 대하여는 결국 방지시설을 전혀 거치지 아니하고 처리함으로써 공공수역의 수질환경을 오염시킬 위험을 야기하여 그 죄질이 좋지 아니한 점 등은 피고인에게 불리한 정상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rime of violating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the Defendant appears to have cause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facility to adjust the flow volum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acility for regulating the flow volume, and the idea of improving and repairing it appears to have caused the remainder of the crime before and after which the Defendant committed the crime. As to the water that flows out from the sludge containing the sludge, it shall be again incorporated into the flow control facility to undergo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dure ( there is no circumstance to deem that the water flows out to the public waters).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to have been treated through the waste treatment business operator who has broken out or opened water, and there is a circumstance to consider in the process of the crime, such as removing the water-quality pollutants from the water spill by using concrete, or in the circumstances after the crime, such as taking measures to prevent the water-quality pollutants from being flow out to the public waters, and the support team of Nonindicted 1 Company to which the Defendant belongs for the Defendant belong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environmental green growth in 2013."

In addition to the above circumstances, the defendant's age, character and conduct, environment, occupation, family relationship, family situation, and the circumstances after committing the crime, the punishment as ordered shall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Judges Kim Sung (Presiding Judge)

(1) Article 38 (1) (excluding a business operator who has obtained permission to install or permission to alter wastewater non-discharge facilities pursuant to the proviso to Article 33 (1) or paragraph (2) of the same Article) or a person who operates prevention facilities (including the representative of the operating body of common prevention facilities under Article 35 (5); hereinafter the same shall apply)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shall not engage in any of the following conduct:

2) Article 15 (Prohibition of Discharge, etc.) (1) of the forme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Prohibition of Discharge, etc.) No person shall commit any of the following acts without justifiable grounds: 1. The act of leaking, releasing, or dumping specific substances harmful to water quality, designated wastes provided for in the Wastes Control Act, petroleum products, fake petroleum products, alternative fuel and crude oil (excluding petroleum g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il") provided for in the Petroleum and Petroleum Substitute Fuel Business Act, toxic substances provided for in the Chemicals Control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xic substances"), and agrochemicals provided for in the Agrochemicals Control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sticides") into public waters; 2. The act of dumping excreta, livestock excreta, animal carcasses, wastes (excluding designated wastes provided for in the Wastes Control Act), or sludge into public waters; 4. The act of washing a large quantity of soil into public waters;

3) “Act of discharging livestock excreta” prohibited under the former part of Article 17(1)1 of the Livestock Excreta Act means an act of discharging livestock excreta out of a discharge facility generated from a discharge facility without discharging livestock excreta into a disposal facility (see Supreme Court Decision 2014Do267, Mar. 27, 2014).

주4) 피고인은 이 사건 공소사실 기재 기간(2012. 6. 8. ~ 6. 14.) 동안 4회에 거쳐 위 유량조정시설에서 묽은 슬러지 120톤을 꺼내었다. 단속 당시인 2013. 6. 13.경 이 사건 공장의 콘크리트 바닥에는 위 공장 밖으로 이미 배출하고 남은 위 슬러지 중 약 27톤이 자루에 담긴 채 적치되어 있었다. 위 슬러지 27톤에서 약 1톤의 침출수가 발생하였으며 실제 부적정하게 처리한 슬러지 120톤에서 발행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4톤의 침출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슬러지가 공장 밖으로 배출된 것으로 보인다(수사기록 5, 150, 159, 214, 228면 참조).

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heongbuk-do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the COD (water pollution density) of the above water was found to have been 176.2 x/L above the permissible discharge level of 90§¯/L (a investigation record of 104, 242 pages).

Note 6) Mobile heading, mother, and manle, etc. are not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hat have been report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 top part of the valves flows into the sewage culvert only on the heat tank.

7) The method and standards of inspection publicly notifi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in order to ensure accuracy and uniformity in the analysis of the nature and state of wastes, the melting of pollutants, etc., which serve as basic data necessary to determine the harmful degree of wastes and determine waste disposal methods (see Article 12 of the Wastes Control Act)

Note 8) The method and standards of inspection publicly notifi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to ensure uniformity and accuracy in the measurement, analysis, evaluation, etc. of hazard of water pollutants (Article 6 subparag. 5 of the Environmental Examination and Inspection Act).

arrow
심급 사건
-청주지방법원 2014.1.16.선고 2012고단1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