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6.03.10 2015다243156
대여금
주문

원심판결

중 주식회사 혜인이엔씨가 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은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채권에 대한 압류 및 추심명령에 이어 제3채무자에 대한 회생절차개시결정이 있으면, 제3채무자에 대한 회생채권확정의 소는 추심채권자만 제기할 수 있고 추심채무자는 회생채권확정의 소를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상실하나, 추심채무자의 회생채권확정의 소가 계속되던 중 추심채권자가 압류 및 추심명령 신청을 취하하여 추심권능을 상실하면 추심채무자가 당사자적격을 회복한다.

이러한 사정은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아도 법원이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하여야 하고, 사실심 변론종결 이후에 이러한 사정이 생겼다면 상고심에서 이를 참작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7. 11. 29. 선고 2007다63362 판결 참조). 회생채권 신고제도는 회생채권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함과 동시에 회생채권의 존재와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므로, 회생채권이 존재하고 그 신고가 있는 한 일단 그 신고를 유효하게 취급하되, 진정한 채권자가 따로 있음이 판명된 경우에는 그때부터 진정한 채권자를 회생채권자로 취급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3. 9. 26. 선고 2002다62715 판결 참조). 이와 같은 법리는 채권에 대한 압류 및 추심명령이 있은 후 추심채무자가 회생채권을 신고하고 나중에 추심권능을 회복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2. 원심은, 원고의 채권자인 파산자 부산저축은행의 파산관재인 예금보험공사(이하 ‘예금보험공사’라고 한다)와 주식회사 혜인이엔씨(이하 ‘혜인이엔씨’라고 한다)가 원고의 피고에 대한 이 사건 대여금채권에 대하여 각 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음으로써, 원고는 위 대여금채권에 대한 채권확정의 소를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설령 회생채권이 확정되더라도 원고가 이를 집행할 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