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판결요지
판시사항
[1]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이 규정하는 ‘위험한 물건’의 판단 기준
[2] 상해행위 과정에서 사용한 당구공이 폭력의 정도와 결과 등에 비추어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의 ‘위험한 물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9. 11. 9. 선고 99도4146 판결 (공1999하, 2553) 대법원 2002. 9. 6. 선고 2002도2812 판결 (공2002하, 2457) 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2도5783 판결 (공2003상, 752) 대법원 2004. 5. 14. 선고 2004도176 판결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전선룡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어떤 물건이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의 ‘위험한 물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사안에서 사회통념에 비추어 그 물건을 사용하면 상대방이나 제3자가 생명 또는 신체에 위험을 느낄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는 것이다 ( 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2도5783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의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이 2006. 12. 21. 02:00경 당구장에서 피해자가 시끄럽게 떠든다는 이유로, 주먹으로 피해자의 얼굴 부위를 1회 때리고 그곳 당구대 위에 놓여있던 당구공으로 피해자의 머리 부위를 수회 때려, 피해자에게 치료일수 불상의 입술 부위가 터지고 머리부위가 부어오르는 상해를 가하였다는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피고인이 피해자의 얼굴을 주먹으로 가격하여 생긴 상처가 주된 상처로 보이고, 당구공으로는 피해자의 머리를 툭툭 건드린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는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와 같은 사정 아래에서는 피고인이 당구공으로 피해자의 머리를 때린 행위로 인하여 사회통념상 피해자나 제3자에게 생명 또는 신체에 위험을 느끼게 하였으리라고 보여지지 아니하므로 위 당구공은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의 ‘위험한 물건’에는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