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05.03 2018노1723
존속폭행치상등
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법리오해 경위 F이 피고인에게 수갑을 채운 행위는 체포행위가 아니라 경찰관 직무집행법 제10조의2 제1항 제2호에 따른 행정상 즉시강제이므로, 그 당시 피고인에게 미란다 원칙 등을 고지하지 아니하였어도 적법한 공무집행에 해당한다.

피고인이 수갑을 채우는 F의 코 부위와 G의 안면 부위를 머리로 들이받아 F에게 비골골절 등의 상해를 가한 행위는 공무집행방해죄 및 상해죄에 해당한다.

나. 양형부당 원심이 선고한 형(벌금 700만 원)은 너무 가벼워서 부당하다.

2. 법리오해 주장에 대한 판단

가. 이 부분 공소사실(공무집행방해 및 상해의 점) 피고인은 2018. 2. 15. 14:59경 서울 관악구 B맨션 C호 소재 피고인의 주거지에서 자신의 존속인 D을 폭행하여 상해에 이르게 한 범죄와 관련하여 이웃주민으로부터 112신고를 받고 현장출동한 관악경찰서 E파출소 소속 경찰관인 피해자 경위 F, 순경 G로부터 ‘집 안에 들어가 위 D의 상태를 확인해보겠다.’는 말을 듣고 화가 나 몸으로 현관문을 막아서며 위 경찰관들이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던 중 피고인의 뒤쪽으로 집안에 들어가려고 시도하던 위 F의 코 부위를 자신의 머리로 들이받고, 계속하여 위 G가 위 F에 대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피고인을 현행범인 체포하기 위해 피고인의 뒤에서 손을 잡아당기자 또다시 자신의 머리로 위 G의 안면 부위를 들이받았다.

이로써 피고인은 위 경찰관들의 범죄의 예방ㆍ진압 및 수사에 관한 정당한 직무집행을 각 방해함과 동시에 피해자 위 F에게 치료일수 불상의 비골골절 등의 상해를 가하였다.

나. 원심의 판단 원심은, F이 피고인에게 수갑을 채운 행위는 피고인을 체포하는 행위인데 그 당시 미란다 원칙 등을 고지하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