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지방법원 2016.11.17 2016고정919
산림자원의조성및관리에관한법률위반
주문

피고인은 무죄.

이유

1. 공소사실 산림 안에서 입목을 벌채 하려는 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나 지방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럼에도 피고인은 2015. 11. 초순경부터 같은 해 11. 중순경 사이, 전남 장성군 C, D에 있는 임야에서 장성군수나 지방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지 않고 위 임야에 식재된 직경 20~40cm의 소나무 4주, 직경 10~15cm의 삼나무 13주 등 총 17주의 산림을 전기톱을 이용하여 벌채하였다.

2. 판단

가. 관계법령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6조 (입목벌채등의 허가 및 신고 등) ① 산림(제19조에 따른 채종림등과 제43조에 따른 보안림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안에서 입목의 벌채, 임산물(「산지관리법」 제2조제3호ㆍ제4호에 따른 석재 및 토사는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굴취ㆍ채취(이하 "입목벌채등"이라 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를 하려는 자는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나 지방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받은 사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⑤ 제1항, 제2항 단서 및 제4항에도 불구하고 풀베기, 가지치기 또는 어린나무 가꾸기를 위한 벌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입목벌채등은 허가나 신고 없이 할 수 있다.

제74조 (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제36조제1항을 위반하여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나 지방산림청장의 허가 없이 입목벌채등을 한 자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3조 (임의로 하는 입목벌채등) 법 제36조제5항에 따라 허가 또는 신고 없이 입목벌채등을 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9. 그 밖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