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남부지방법원 2015.06.12 2015가합2363
부당이득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원고는 B에게 2009. 6. 25. 285,000,000원을 대여하였고, 2013. 6. 10. 원리금 중 164,672,949원을 변제 받았다.

나. B 소유의 서울 구로구 C 대 118㎡ 및 D, C 지상 3층 건물(이하 ‘이 사건 각 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2012. 6. 19. 피고 명의로 채권최고액 500,000,000원의 근저당권설정등기 및 원고의 B에 대한 서울동부지방법원 2012카단5264호 가압류결정의 가압류등기가 마쳐졌다.

다. 이 사건 각 부동산 등에 관하여 서울남부지방법원 E로 부동산강제경매절차가 진행되어, 위 경매절차에서 피고가 근저당권자로서 177,520,447원을, 원고가 신청채권자로서 47,839,263원을 각 배당받았다.

[인정근거] 갑 제1 내지 4호증(각 가지번호 있는 경우 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의 주장에 대한 판단

가. 원고의 주장 피고는 B의 채권자가 아님에도, B와 결탁하여 원고의 배당금을 줄이고 부당이득을 취할 목적으로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허위의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치고 경매절차에서 금원을 배당받았다.

피고가 부당하게 금원을 배당받음으로 인하여 원고에게 배당되어야 할 205,563,777원 중 47,839,263원만이 배당되어, 피고는 그 차액인 157,724,514원(205,563,777원 - 47,839,263원)을 부당이득하였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157,724,514원 및 이에 대한 이 사건 소장 부본 송달 다음날부터의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나. 판단 피고가 B에 대한 채권자가 아님에도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허위의 근저당권을 설정하였다는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원고의 주장은 이유 없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없으므로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