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의정부지방법원 2019.06.25 2018구합16944
취득세부과처분무효확인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처분의 경위

피고는 2014. 10. 13.부터 2014. 10. 17.까지 세무조사를 실시하여 원고가 B블럭 토지에 신축된 아파트 및 근린생활시설(이하 ‘이 사건 각 건축물’이라 한다)을 원시취득하였음에도 취득세 등을 신고ㆍ납부하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고, 2014. 11. 4. 원고에게 신고불성실가산세와 납부불성실가산세를 포함하여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등 합계 6,483,959,070원에 대한 과세예고통지를 하였다.

피고는 2014. 12. 17. 원고에게 이 사건 각 건축물의 취득과 관련하여 취득세 6,012,372,170원, 지방교육세 319,265,050원, 농어촌특별세 162,042,360원 등 합계 6,493,679,580원(각 가산세 포함)을 부과하는 처분을 하였다.

그 후 원고가 과세표준이 감액되어야 함을 소명하였고, 이에 피고는 2015. 1. 20. 원고에게 각 세액을 일부 감액하여 취득세 5,934,619,250원, 지방교육세 315,136,250원, 농어촌특별세 159,946,800원 등 합계 6,409,702,300원(각 가산세 포함)으로 경정ㆍ고지하였다

(이하 감액되고 남은 위 2014. 12. 17.자 6,409,702,300원의 취득세 등 부과처분을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호증(가지번호 포함), 을 제1 내지 5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원고 주장의 요지 피고는 이 사건 처분을 함에 있어 본세와 가산세를 합산하여 부과한 것임에도 납세고지서에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의 본세만 기재하고 가산세에 대하여는 전혀 기재하지 않았는바, 원고로서는 납세고지서만으로 가산세액을 알 수 없고 가산세의 내역과 산출근거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위법한 납세고지서에 의한 이 사건 처분은 무효이다.

관계 법령 별지 기재와 같다.

판단

구 지방세기본법 2016. 12. 27. 법률 제14474호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