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구지방법원 2015.06.10 2014나16430
부당이득금
주문

1. 원고(반소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반소피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이유

1. 이 법원의 심판범위 제1심 법원은 원고의 본소청구 및 피고의 반소청구를 모두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하였고, 이에 대하여 원고만이 본소청구에 대하여 항소하였으므로 이 법원의 심판범위는 본소청구 부분에 한정된다.

2. 주장 및 이에 대한 판단

가. 원고 주장의 요지 1) 피고는 원고 등 지입차주들의 월 매출액에 대한 부가가치세 상당액을 공제한 나머지 돈을 급여로 지급하는 방식으로 매달 원고 등 지입차주들의 월 매출액에 대한 부가가치세 상당액을 보관하여 왔다. 2) 원고가 지게차에 주입한 유류대금에 대한 2007년 2기분부터 2012년 2기분까지의 매입세액은 아래 표 기재와 같이 2,389,608원이고, 원고는 2012. 2.경 55,850,000원 상당의 지게차를 새로 매입하였는데 이후 위 지게차에 대한 부가가치세 환급금 5,585,000원 중 4,535,866원만을 돌려받았다.

순번 기간 매입세액(원) 1 2007년 2기 394,343 2 2008년 1기 256,711 3 2008년 2기 413,863 4 2009년 1기 123,003 5 2009년 2기 18,000 6 2010년 1기 43,230 원고는 2014. 10. 31.자 준비서면 제3쪽의 2010년 1기분과 2기분을 착오로 뒤바꾸어 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7 2010년 2기 495,263 8 2011년 1기 188,340 9 2011년 2기 217,670 10 2012년 1기 100,090 11 2012년 2기 139,095 합계 2,389,608 3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2007년 2기분부터 2012년 2기분까지의 유류대금에 대한 부가가치세 2,389,608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

나. 판단 원고의 위 주장은,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이 부가가치세 납부세액이 되는데 피고는 매입세액을 고려하지 않고 매달 원고의 매출액에 대한 매출세액을 원고의 급여에서 공제하여 보관하여 왔으므로, 피고는 원고의 2007년 2기분부터 2012년 2기분까지의 매입세액 중...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