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5.12 2015나57897
소유권이전등기
주문

1. 원고들의 피고들에 대한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피고 서울특별시 종로구는 1988. 9. 20. 서울 종로구 M 도로 3444.5㎡(이하, 이 사건 제1토지라고 한다)에 관하여 1988. 5. 1.자 재산승계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고 이를 행정재산 중 공공용재산으로 관리하고 있다.

나. 피고 서울특별시는 1976. 11. 29. 서울 종로구 N 도로 360.8㎡(이하, 이 사건 제2토지라고 한다)에 관하여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치고 이를 행정재산 중 공공용재산으로 관리하고 있다.

다. 원고 A는 서울 종로구 P, 원고 B은 Q, 원고 C는 R, 원고 D, E은 S, 원고 G, H, I은 서울 종로구 T 지상에 각각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 라.

원고

A, B, C, D, E 소유의 위 각 건물은 별지 제1목록 ‘도면표시’란 기재 부분과 같이 이 사건 제1토지의 일부를, 원고 G, H, I 소유의 건물은 별지 제2목록 ‘도면표시’란 기재 부분과 같이 이 사건 제2토지의 일부를 각 침범하고 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3, 제5 내지 7, 9, 11호증(각 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제1심 법원의 감정인 U에 대한 감정촉탁결과, 변론 전체의 취지

2. 주장 및 판단

가. 원고들의 주장 1) 이 사건 제1, 2토지는 비록 그 지목이 도로이고 피고들이 공공용재산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도로로서 법령상의 요건을 구비하지 못하였고 피고들의 공용개시행위도 없었으므로, 시효취득의 대상이 되는 일반재산으로 보아야 한다. 2) 원고들은 원고들 소유인 각 건물의 전소유자로부터 점유를 승계하여 건물 부지로 이 사건 제1, 2토지의 일부를 점유하여 온 것이므로, 별지 제1, 2목록의 각 시효취득일에 각 해당 토지를 시효취득하였다.

나. 판단 1 국유재산법 제7조 제2항과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제6조는 '행정재산은 민법 제245조에도 불구하고 시효취득의 대상이...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