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창원지방법원 2016.09.06 2016구합306
개발제한구역내 건축불허가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2007. 11. 19. 피고로부터 토지거래허가대상구역 내에 있던 창원시 B 임야 241㎡, C 임야 152㎡, D 임야 19,805㎡에 대하여 임업용으로 토지거래계약허가를 받았다.

원고는 E로부터 위 각 토지 및 창원시 성산구 F 과수원 701㎡, G 과수원 988㎡를 매수하여 2008. 1. 7.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나. 위 각 토지의 분할 및 지목 변경 경위는 아래 표 기재와 같다

(이하 창원시 성산구 G 과수원 988㎡를 ‘이 사건 토지’라 하고, 위 토지의 용도지역은 자연녹지지역, 용도구역은 개발제한구역이다). 분할 및 변경 전 토지(창원시 성산구 H동, 이하 생략) 분할 지목변경 날짜 분할 후 토지 날짜 변경 후 토지 F 과수원 701㎡ G 과수원 988㎡ B 임야 241㎡ C 임야 152㎡ 2011. 12. 21. C 전 152㎡ D 임야 19,805㎡ 2011. 12. 21. D 임야 17,650㎡ I 임야 67㎡ 2011. 12. 23. J 전 67㎡ K 임야 276㎡ L 전 276㎡ M 임야 668㎡ N 전 668㎡ O 임야 1,144㎡ P 과수원 1,145㎡

다. 원고는 2015. 7. 22. 피고에게 이 사건 토지에 대지면적 988㎡, 건축면적 56.7㎡의 관리사를 건축하기 위하여 건축허가 신청을 하였다. 라.

피고는 2015. 7. 31. 원고에게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개발제한구역 내 건축 불허가 처분을 하였다

(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 1. 개발제한구역 내 관리사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개발제한구역법’이라 한다) 제12조구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2015. 9. 8. 대통령령 제265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개발제한구역법 시행령’이라 한다) 제13조 [별표 1] 제5호 (나)목 5 관리용 건축물 규정에 따라, 생산에 직접 이용되는 토지 면적이 2,000㎡ 이상이면서 과수원, 초지, 유실수ㆍ원예ㆍ분재 재배지역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