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부산고등법원(창원) 2017.06.07 2016누11578
개발제한구역내 건축불허가처분취소
주문

1. 제1심 판결을 취소한다.

2.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3. 소송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2007. 11. 19. 피고로부터 토지거래허가대상구역 내에 있던 창원시 B 임야 241㎡, C 임야 152㎡, D 임야 19,805㎡에 대하여 임업용으로 토지거래계약허가를 받았다.

원고는 E로부터 위 각 토지 및 창원시 성산구 F 과수원 701㎡, G 과수원 988㎡를 매수하여 2008. 1. 7.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나. 위 각 토지의 분할 및 지목 변경 경위는 아래 표 기재와 같다

(이하 창원시 성산구 H 전 668㎡를 ‘이 사건 토지’라 한다. 이 사건 토지는 도시관리계획에 따라 용도지역은 자연녹지지역으로, 용도구역은 개발제한구역으로 각 지정되어 있다). 분할 및 변경 전 토지(창원시 성산구 I동, 이상 생략) 분할 지목변경 날짜 분할 후 토지 날짜 변경 후 토지 F 과수원 701㎡ G 과수원 988㎡ B 임야 241㎡ C 임야 152㎡ 2011. 12. 21. C 전 152㎡ D 임야 19,805㎡ 2011. 12. 21. D 임야 17,650㎡ J 임야 67㎡ 2011. 12. 23. K 전 67㎡ L 임야 276㎡ M 전 276㎡ N 임야 668㎡ H 전 668㎡ O 임야 1,144㎡ P 과수원 1,145㎡

다. 원고는 2015. 6. 29. 피고에게 이 사건 토지에 대지면적 297㎡, 건축면적 148.5㎡의 경량철골조 농가창고(유실수 및 농기구 창고, 이하 ‘이 사건 농가창고’라 한다)를 건축하기 위하여 건축허가 신청을 하였다

(이하 ‘이 사건 신청’이라 한다). 1. 이 사건 토지는 지목이 농지이기는 하나, 농지원부에 등재되지 않은 토지일 뿐 아니라 현장 확인 및 항공사진 열람 결과 실제 경작지로 보이지도 않으므로, 이 사건 토지를 “영농에 사용되는 토지”로 볼 수 없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