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09.26 2013나66125
부당이득금 반환
주문

1. 당심에서 확장된 원고의 청구를 포함하여 제1심판결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가.

피고는...

이유

1. 인정 사실

가. 원고는 금융회사부실자산 등의 효율적 처리 및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으로서 이 법률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대한민국으로부터 대한민국 소유의 서울 서대문구 B 대 4,588㎡(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의 관리처분 등에 관한 업무를 위탁받았다.

나. 피고는 이 사건 토지에 건축된 무허가 건물(이하 ‘이 사건 무허가 건물’이라 한다)에 거주하던 C으로부터 2004. 6. 30.경 그 건물을 매수한 후 그 무렵부터 이 사건 무허가 건물에 거주하면서 그 건물부지 74㎡(이하 ‘이 사건 부지’라 한다)를 점유사용하여 왔다.

다. 한편 피고가 이 사건 부지를 점유사용으로 인한 임료 상당 부당이득액은, 2006. 4. 1.부터 2013. 12. 31.까지는 [별표1] ‘부당이득금 내역1’ 기재와 같이 18,095,860원이고, 2007. 6. 13.부터 2013. 12. 31.까지는 [별표2] ‘부당이득금 내역2’ 기재와 같이 15,566,070원이다.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8, 10 내지 12호증(가지번호 있는 것은 각 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판단

가. 부당이득반환의무의 발생 1)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피고는 이 사건 토지 지상에 이 사건 무허가 건물을 소유하면서 이 사건 부지를 법률상 원인 없이 점유사용하여 차임 상당의 이익을 얻고 이 사건 토지의 관리처분권자인 원고에게 손해를 입혔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피고는 원고가 구하는 바에 따라 2006. 4. 1.부터 2013. 12. 31.까지 이 사건 건물부지의 점유사용에 따른 임료 상당 부당이득금 18,095,86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 2) 피고의 주장에 관한 판단 가) 국유재산법 예외사유 해당 여부 (1 우선 피고는, 국유재산법 제72조 제1항 제2호는 "국가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