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북부지방법원 2019.08.13 2018고정1637
통신비밀보호법위반
주문

피고인은 무죄.

이유

1. 공소사실의 요지 감청설비를 제조ㆍ수입ㆍ판매ㆍ배포ㆍ소지ㆍ사용하거나 이를 위한 광고를 하고자 하는 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피고인은 인터넷 쇼핑몰 ‘B’의 운영자로서 위 ‘B’는 ‘C’이라는 중국 업체로부터 구매대행 방식으로 위장형 카메라를 수입ㆍ판매하는 위장형 카메라 판매업체이다.

피고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인가를 받지 아니하고, 2015. 5. 3.경부터 2018. 7. 4.경까지 서울 노원구 D아파트 E호에서, 위 B 사이트에 외형상 카메라로 인식되지 않는 음성녹음기능이 포함된 별지 범죄일람표(1) 기재와 같은 시계형, 생수병형 등 각종 위장형 불법촬영 카메라의 판매를 위한 광고를 하고, 2015. 10. 2.경부터 2018. 6. 26.경까지 사이에 별지 범죄일람표(2) 및 범죄일람표(3) 기재와 같이 총 280회에 걸쳐 합계 56,403,760원 상당에 해당하는 위장형 카메라를 판매하였다.

이로써 피고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인가를 받지 아니하고 감청설비를 판매하고, 판매를 위한 광고를 하였다.

2. 판단

가. 관련 법리와 규정 1 통신비밀보호법 제2조 제3호 및 제7호에 의하면 같은 법상의 “감청”은 전자적 방식에 의하여 모든 종류의 음향ㆍ문언ㆍ부호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기통신에 대하여 당사자의 동의 없이 전자장치ㆍ기계장치 등을 사용하여 통신의 음향ㆍ문언ㆍ부호ㆍ영상을 청취ㆍ공독하여 그 내용을 지득 또는 채록하거나 전기통신의 송ㆍ수신을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해당 규정의 문언이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기통신 행위를 감청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 송ㆍ수신이 완료되어 보관 중인 전기통신 내용은 그 대상으로 규정하지 않은 점, 일반적으로 감청은 다른...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