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6.12.09 2014가합70675
손해배상(기)
주문

1. 피고 D는 G과 연대하여 원고 A에게 463,635,000원, 원고 B에게 645,000,000원, 피고 C는 G, 피고 D와...

이유

1. 기초사실

가. G은 H로부터 그 소유의 오산시 I에 있는 J건물 등 10개 Q건물, R건물, S건물, T건물, U건물, V건물, J건물, W건물, O건물, X건물 원룸 건물(이하 모두 지칭하여 ‘이 사건 건물’이라고 한다)에 대한 위탁 및 관리업무를 위임받아 H을 대리하여 위 건물들에 대하여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인들로부터 전세보증금, 월세, 무보증월세 예치금을 수령한 후 매월 말 새로 체결된 임대차계약서를 제시하고 그 전세보증금 등을 H에게 송금하는 업무를 수행해 왔다.

그리고 H이 2012. 12. 30. 사망한 이후에는 이 사건 건물을 상속받은 처 원고 A와 딸 원고 B으로부터 위와 같은 내용의 위탁 및 관리업무를 위암받아 종전 업무를 계속하여 수행하였다.

나. G은 공인중개사인 K 명의로 오산시 L에 M공인중개사사무소라는 상호의 공인중개사 사무실(이하 ‘M공인중개사사무소’라고 한다)을 개설하여 위 사무실을 운영하면서 이 사건 건물에 대한 임대차계약 체결을 중개하며 H과 원고들로부터 위임받은 위 업무를 해 왔는데, 2010. 8. 13.부터 2011. 5. 16.까지는 K이, 2011. 5. 21.부터 2014. 10. 17.까지는 피고 C가 M공인중개사사무소 상호로 중개사무소 개설등록 및 사업자등록을 하였다.

다. 1 그런데 G은 2010. 11. 29. N와 이 사건 건물 중 O건물 P호에 관하여 보증금 3,000만 원에 임대하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위 보증금을 수령하였음에도 M공인중개사사무소에서 공인중개사인 피고 C의 명의를 사용하여 실제로 받은 위 보증금보다 적은 보증금 300만 원에 임대하였다는 내용의 허위 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한 후 이를 H에게 보여주면서 위조한 임대차계약서상의 보증금 300만 원만 송금하는 방법으로 별지1 표와 같이 2010. 12. 20.경부터 2014. 7. 5.경까지 보증금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