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9.08.29 2017나2013340
사해행위취소
주문

1. 피고의 원고들에 대한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3....

이유

1. 피보전권리에 관한 판단

가. 인정사실 1) F은 G로부터 그 소유의 오산시 L에 있는 10개 원룸 건물(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

)에 대한 위탁 및 관리업무를 위임받아 G을 대리하여 이 사건 건물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인들로부터 전세보증금, 월세, 무보증월세 예치금을 수령한 후 매월 말 새로 체결된 임대차계약서를 제시하고 그 전세보증금 등을 G에게 송금하는 업무를 수행해 왔다. G이 2012. 12. 30. 사망한 이후에는 F은 이 사건 건물을 상속받은 G의 처 원고 A와 자녀인 원고 B으로부터 위와 같은 내용의 위탁 및 관리업무를 위임받아 종전 업무를 계속하여 수행하였다. 2) F은 이 사건 건물 중 오산시 M에 있는 I호에 이 사건 건물의 임대 및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J주택관리사무소’를 개설하는 한편, 같은 장소에 ‘J공인중개사사무소’라는 상호의 공인중개사 사무실을 개설하여 위 사무실을 함께 운영하면서, 이 사건 건물의 임대차계약 체결을 중개하며 G과 원고들로부터 위임받은 위 업무를 수행해 왔다.

2010. 8. 13.부터 2011. 5. 16.까지는 공인중개사인 N이, 2011. 5. 21.부터 2014. 10. 17.까지는 공인중개사인 D가 위 J공인중개사사무소 상호로 중개사무소 개설등록 및 사업자등록을 하였다.

3 F은 이 사건 건물을 관리하면서 실제로는 임차인들과 보증금 2,300만 원 내지 3,000만 원으로 하는 전세계약을 체결하고 위 보증금을 수령하였음에도, J공인중개사사무소에서 공인중개사인 D의 명의를 사용하여 실제로 받은 보증금보다 적은 액수의 보증금인 300만 원 내지 1,000만 원, 월세 25만 원 내지 32만 원에 임대하였다는 내용의 허위 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한 후 G과 원고들에게 허위 계약서상의 보증금만 송금하는 방법으로 2010. 12. 20.경부터...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