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11.22 2016가단91336
소유권확인
주문

1.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토지조사부에는, 당시 경기 용인군 M에 거주하는 N이 1911. 10. 1. 위 O 전 1991평을 사정받은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나. 위 O 토지는 분할되어 현재 용인시 처인구 L 제방 2,469㎡(이하 ‘이 사건 토지’라고 한다), P 전 4,097㎡, Q 전 15㎡로 되었다.

다. 이 사건 토지에 대한 구 토지대장에는 수원군 R에 주소지를 둔 S이 1911. 10. 1. 용인시 처인구 O 전 1991평을 사정받은 소유자로 기재되어 있다. 라.

한편 원고의 선대인 T에 대한 제적등본에는 그 본적이 서울 종로구 U로 기재되어 있는데, T이 1897. 3. 7. 분가로 인하여 호주가 되었고, 1918. 9. 11. 경기 수원군 V에서 이거한 사실, 위 호적은 1947. 12. 13. 화재로 소실되어 1962. 12. 31. 재제된 사실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15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판단

가. 원고들의 주장 이 사건 토지는 당초 원고들의 선대인 T이 사정받은 위 경기 용인군 O에서 분할된 미등기 토지인데, T의 재산에 대한 원고들의 상속 지분은 별지 지분 목록 기재 각 지분 비율과 같으므로, 결국 원고들은 위 지분 비율로 이 사건 토지를 공유하고 있다.

나. 판단 일정 아래에서의 토지조사령에 기하여 행하여진 토지조사사업에서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받은 사람은 당해 토지의 소유권을 원시적ㆍ창설적으로 취득하는 것으로서, 그 사정은 토지소유권관계의 출발점을 이룬다.

또한 토지사정 이후 100여 년에 이르는 오랜 기간 동안에 토지에 관한 거래 기타 법률관계에 관한 변동원인이 있었을 적지 않은 개연성, 그 사이에 우리 사회에 일어난 전란 기타 현저한 사회적ㆍ경제적 변동 또는 토지이용현황의 추이 등에도 불구하고, 사정명의인의 후손은 일단...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