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전주지방법원정읍지원 2017.07.13 2016가단4196
사용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원고의 주장 원고는 휘성건설 주식회사(이하 ‘휘성건설’이라 한다)에 대하여 장비임대료 20,900,000원을 지급받을 채권이 있다.

그런데 휘성건설은 B 조성사업 공사와 관련하여 피고로부터 1,102,271,880원을 지급받을 채권이 있다.

원고는 하도급대금 직불 합의 또는 관련 법령에 따라 발주자인 피고에게 위 장비임대료 채권을 직접 청구할 권리가 있고, 휘성건설이 현재 무자력이므로 휘성건설을 대위하여 위 공사대금 중 위 장비임대료 상당 금액을 청구한다.

2. 판단 휘성건설이 피고가 발주하고 유한회사 성우토건이 원래 도급받은 B 조성공사(토목공사) 중 피씨박스 설치 및 옹벽 공사(이하 '이 사건 공사‘라고 한다)를 대금 4,432,483,000원에 하도급받은 사실, 원고가 휘성건설을 상대로 장비임대료를 청구한 민사소송(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 2014가단6402)에서 2015. 1. 13. ‘휘성건설은 원고에게 20,90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이 선고되어 그 무렵 확정된 사실은 인정된다.

그러나 피고가 제출한 증거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휘성건설이 이 사건 공사를 완료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실상 운영이 중단된 사실이 인정된다.

이에 따르면 휘성건설의 이 사건 공사의 원도급자나 발주자인 피고로부터 받을 공사대금 채권액이 원고 주장과 같이 최초 공사계약에서 정한 대금과 같을 수 없다.

또한 원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휘성건설이 공사를 마친 부분에 관하여 발생한 공사대금 채권액이 휘성건설 측에 지급된 대금 이상이라는 점을 인정하기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따라서 휘성건설이 피고로부터 이 사건 공사와 관련하여 지급받을 공사대금 채권이 존재함을 전제로 하는 원고의 청구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