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전주지방법원 2017.05.25 2016가합1570
대여금
주문

1.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청구원인에 관한 원고의 주장 원고가 2007. 2. 21.부터 2012. 3. 12.까지 망 F에게 합계 307,610,877원을 대여하였고, 그 중 106,921,000원을 망 F으로부터 변제받았으므로, 망 F의 상속인들인 피고들은 원고에게 나머지 차용금 200,689,877원(= 307,610,877원 - 106,921,000원)을 그 상속지분에 따라 지급할 의무가 있다.

2. 판단 갑 제1 내지 13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원고 또는 원고의 전 남편인 G 명의 계좌에서 2007. 2. 21.부터 2012. 3. 12.까지 H 등에게 별지1 기재와 같이 합계 294,910,877원(= 52,935,500원 131,792,727원 35,400,000원 23,500,000원 51,282,650원)이 이체된 사실, H 등으로부터 2007. 3. 1.부터 2010. 11. 26.까지 원고 명의 농협 및 전북은행계좌로 별지2 기재와 같이 합계 106,921,000원(= 93,600,000원 13,321,000원)이 이체된 사실은 인정된다(한편, 원고는, 원고의 국민은행계좌에서 2010. 2. 24. I에게 1,000,000원을, 2010. 8. 6. 망 F에게 합계 11,700,000원을 각 이체하여 대여하였다고 주장하나,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예금계좌에 금전을 이체하는 등으로 송금하는 경우 그 송금은 소비대차, 증여, 변제 등 다양한 법적 원인에 기하여 행하여질 수 있는 것이므로, 그러한 송금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소비대차에 관한 당사자의 의사합치가 있었다고 쉽사리 단정할 수 없으며(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2다30861 판결 등 참조), 그러한 의사합치가 있었다는 점에 관한 입증책임은 그 송금이 소비대차를 원인으로 행하여진 것임을 주장하는 원고에게 있다

(대법원 2014. 7. 10. 선고 2014다26187 판결 등 참조). 갑 제1 내지 13호증, 을 제1, 2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을 종합하여 보면, 원고가 제출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