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 2017.05.16 2016구단50089
상이사망비해당결정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의 배우자인 B(이하, ‘망인’이라 한다)는 6.25 전쟁 참전중 수상한 “좌수 및 우상지, 좌하지 파편창(이하, ‘이 사건 상이’라 한다)”에 대하여 전상군경으로 인정받고 2006. 6.경 상이등급이 6급 2항 44호에 해당한다는 판정을 받았다.

망인은 2007년경 서울중앙보훈병원에서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후 2015. 8. 4. 전립선암이 원인이 되어 사망하였다.

나. 원고는 2015. 8. 12. 피고에게 구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11. 9. 15. 법률 제110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국가유공자법’이라 한다) 제12조 제3항 소정의 상이사망인정 신청을 하였고, 이에 대해 피고는 2015. 10. 29. 원고에게 망인이 이 사건 상이가 원인이 되어 사망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상이사망 비해당 결정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호증, 을 제1 내지 4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망인은 전립선암으로 지속적인 항암치료를 받던 중 사망하였는바, 망인의 전립선암은 이 사건 상이가 원인이 되어 발병한 것임에도, 이와 다른 전제에서 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나. 판단 1) 구 국가유공자법 제12조 제3항은 “전상군경, 공상군경, 4ㆍ19혁명부상자 및 특별공로상이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상이등급에 해당하는 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그 상이가 원인이 되어 사망한 경우에만 그의 유족에게 보상금을 지급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구 국가유공자법 시행령(2012. 6. 27. 대통령령 제2388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0조 제1항은 "법 제12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사망의 경우 그 유족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게 될 국가유공자인...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