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9.02.15 2018구단74191
체류기간연장등불허가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중국 국적의 외국인으로서 2011. 4. 25. 특정활동(E-7) 체류자격으로 대한민국에 입국하였는데, 이후 체류자격이 2017. 2. 22. 기타(G-1)로, 2017. 6. 22. 구직(D-10)으로 각 변경되었다.

나. 원고는 2018. 5. 9. 피고에게 체류자격을 특정활동(E-7)으로 변경해 달라는 신청(이하 ‘이 사건 신청’이라 한다)을 하였는데, 피고는 2018. 10. 22. 원고에게 ‘원고가 제출한 조리사 자격증이 위조되었다.’는 이유로 체류자격변경불허결정(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통보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6호증, 을 제3, 4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원고가 이 사건 신청 당시 제출한 서류 중 2004년에 발급받은 직업자격증명(조리사 자격증)은 허위서류가 아니고, 원고는 2010년에 중국에서 진정하게 발급받은 직업자격증명(조리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 사건 처분은 사실을 오인하였거나 비례원칙을 위반하여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위법이 있으므로, 위법하다.

나. 판단 1) 입국하려는 외국인은 일반체류자격(출입국관리법에 따라 대한민국에 체류할 수 있는 기간이 제한되는 체류자격)이나 영주자격(대한민국에 영주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가져야 하고(출입국관리법 제10조), 대한민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이 그 체류자격과 다른 체류자격에 해당하는 활동을 하려면 미리 법무부장관의 체류자격 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출입국관리법 제24조 제1항 . 또한 출입국관리행정은 내외국인의 출입국과 외국인의 체류를 적절하게 통제조정함으로써 국가의 이익과 안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국가행정작용으로서, 특히 외국인의 국내 체류에 관한 사항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