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의정부지방법원 2015.05.01 2014나52514
부당이득금반환
주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당심에서 확장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3....

이유

1. 인정사실

가. 원고는 2013. 7. 3. 한국자산관리공사의 공매절차에서 고양시 일산동구 B 하천 654㎡(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를 매수하고 2013. 8. 5. 그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였다.

나. 고양시장은 1999. 1. 18. 구 소하천정비법(1999. 8. 31. 법률 제600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소하천정비법’이라고 한다) 제3조 제2항에 의하여 C을 소하천으로 지정, 고시하였는바, 원고 소유인 이 사건 토지는 위 소하천 구간에 포함되어 위 소하천의 형상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인정근거】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6호증, 을 제1 내지 3호증의 각 기재 및 영상, 변론 전체의 취지

2. 판단

가. 원고의 주장 원고는, 피고가 아무런 권원 없이 이 사건 토지를 하천시설의 부지 등으로 점유, 사용함으로써 위 토지의 임료 상당의 이득을 얻고 그로 인하여 원고에게 동액 상당의 손해를 가하고 있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위 토지의 임료 상당액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한다.

나. 판단 먼저, 피고가 아무런 권원 없이 이 사건 토지를 점유,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본다.

이 사건 토지가 1999. 1. 18. C의 소하천 구간에 포함되어 위 소하천의 형상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사실은 앞서 본 바와 같으므로, 위 토지는 구 소하천정비법 제2조 제2호 가목, 제1호 소정의 소하천 구역으로 편입되었다고 할 것이고, 이에 따라 위 토지의 점용이나 그 형상의 변경, 제방 등 소하천부속물의 점용신축개축변경 또는 제거를 포함한 유지관리 권한은 관리청에 귀속된다고 할 것이므로, 관리청인 피고가 아무런 권원 없이 이 사건 토지를 점유,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대법원 1994. 6. 28. 선고 93다46827 판결 등...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