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arrow
서울고등법원 2007. 01. 11. 선고 2005누29978 판결
허위계약서를 작성한 경우로 보아 실지거래가액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국패]
제목

허위계약서를 작성한 경우로 보아 실지거래가액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요지

원고가 양도소득세 예정신고시 허위계약서를 제출한 사실은 인정되나, 이는 사실과 다른 허위계약서를 증빙서류로 제출한 것에 불과할 뿐 '허위계약서의 작성 등 부정한 방법으로 부동산을 취득 또는 양도하는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음

관련법령

소득세법 제96조 양도가액

주문

1. 제1심 판결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가. 피고가 2003.10.1. 원고에 대하여 한 2000년 귀속 양도소득세 377,140,500원의 부과처분 중 35,493,310원을 초과하는 부분을 취소한다.

나. 원고의 나머지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제1,2심 모두 이를 10분하여 그 1은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가 각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1. 청구취지

피고가 2003.10.1. 원고에 대하여 한 2000년 귀속 양도소득세 377,140,500원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2. 항소취지

제1심 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377,140,500원의 부과처분 중 21,418,830원을 초과하는 부분의 취소를 명한 부분)을 취소하고, 그 부분에 해당하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다음 각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거나, 갑 제1호증, 갑 제7호증, 을 제1호증의 1, 2, 을 제2호증, 을 제3호증, 을 제5호증의 1 내지 8, 을 제6호증의 1 내지 5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여 인정할 수 있다.

가. 원고는 '○○산업사'라는 상호로 별지목록 기재 각 부동산에서 석재 채굴업을 운영하다가 동생 이○○, 4촌 동생 이○○, 아들 이○○의 위임을 받아 1999. 12. 6. 김○○에게 별지목록 기재 각 부동산을 석재 채굴을 위한 부속시설 및 부대설비를 포함하여 대금 40억 원에 양도하기로 하고, 그 후 매수인을 주식회사○○○○(대표이사 김○○)및 김○○의 처인 황○○으로 변경한 후, 2000. 3. 24.경까지 주식회사 ○○○산업으로부터 25억 원을, 황○○으로부터 15억 원을 모두 지급받았다.

나. 원고는 2000. 3. 28. ○○세무서장에게 그 명의로 되어 있던 별지목록 순번 1 내지 33 기재 각 부동산과 순번 43 내지 64 기재 각 부동산 중 각 10분의 3 지분(이하 '이 사건 제1 부동산'이라 한다)에 대한 양도소득세 예정신고를 함에 있어 위 제1 부동산의 양도 당시 기준시가 합계액 734,075,580원에 취득 당시 기준시가 합계액 375,786,364원 및 필요경비와 장기보유특별공제액을 공제하여 양도소득을 230,834,027원으로 계산한 후 여기에 양도소득기본공제 2,500,000원을 공제한 228,334,027원을 과세표준으로 보고 2000년 귀속 양도소득세로 69,983,540원을 신고, 납부하였다.

다. 피고는, 이○○ 명의로 등기가 마쳐져 있던 별지목록 65 내지 70 기재 각 부동산(이하 '이 사건 제2 부동산'이라 한다)이 실제로는 원고의 소유임에도 부동산실권리자 명의등기에관한법률에 위반하여 이○○ 명의의 허위계약서를 작성하여 제2 부동산을 양도함으로써 그 부분에 관한 양도소득을 신고하지 아니하였고, 별지목록 기재 부동산 전체의 양도가액이 40억 원이므로 이 사건 제1, 2 부동산(원고 소유인 별지목록 34 내지 42, 71 기재 부동산은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에서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의 실제 양도가액은 2,493,518,738원(별지목록 기재 부동산 전체의 양도가액 40억x이 사건 제1, 2 부동산의 기준시가 합계액 780,164,980원/별지목록 기재 부동산 전체의 기준시가 합계액 1,251,508,510원)임에도 그 양도가액이 1,527,000,000원(을 제5호증의 1 내지 8 각 부동산 매매계약서상의 매매금액 합계임)에 불과하다는 내용의 허위계약서를 작성하여 그 부동산을 양도하였으며, 각 부동산의 기준시가에 의한 양도차익이 1억 원을 초과한다는 이유로 구 소득세법(2000. 12. 29. 법률 제6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소득세법이라고만 한다) 제96조 제1항 제5호, 구 소득세법 시행령(2005. 2. 19. 대통령령 제187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소득세법 시행령이라고만 한다) 제162조의2 제2항 제1호, 제5호를 적용하여 위 제1, 2부동산의 양도가액을 실질거래가액에 따라 산정하여, 2003. 10. 1. 원고에게 별지 세액계산표의 '결정처분'란 기재와 같이 2000년 귀속 양도소득세로 377,140,500원을 추가로 부과∙고지하는 내용의 이 사건 처분을 하였다.

2. 처분의 적법 여부

가. 관계법령

제96조(양도가액)

① 제94조 제1호 및 동조 제2호의 규정에 의한 자산의 양도가액은 당해 자산의 양도당시의 기준시가에 의한다. 다만, 당해 자산이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한다.

5. 허위계약서의 작성, 주민등록의 허위이전 등 부정한 방법으로 부동산을 취득 또는 양도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제100조(양도차익의 산정)

①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양도가액을 실지거래가액(제96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가액 및 제114조제5항의 규정에 의한 가액 중 기준시가외의 매매사례가액∙감정가액등을 포함한다)에 의하는 때에는 취득가액도 실지거래가액(제97조제7항의 규정에 의한 가액 및 제114조제5항의 규정에 의한 가액 중 기준시가외의 매매사례가액∙감정가액∙환산가액 등을 포함한다)에 의하고, 양도가액을 기준시가에 의하는 때에는 취득가액도 기준시가에 의한다.

② 제1항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산정하는 경우로서 토지와 건물 등을 함께 취득하거나 양도한 경우에는 이를 각각 구분하여 기장하되 토지와 건물 등의 가액의 구분이 불분명한 때에는 취득 또는 양도당시의 기준시가에 의하여 계산한 가액에 비례하여 안분 계산한다. 이 경우 공통되는 취득가액과 양도비용은 당해 자산의 가액에 비례하여 안분 계산한다.

제114조(양도소득과세표준과 세액의 결정∙경정 및 통지)

② 납세지 관할세무서장 또는 지방 국세청장은 제105조의 규정에 의하여 예정신고를 한 자 또는 제110조의 규정에 의하여 확정 신고를 한 자의 신고내용에 탈루 또는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양도소득과세표준과 세액을 경정한다.

④ 납세지 관할세무서장 또는 지방 국세청장은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양도소득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 또는 경정하는 경우에는 제96조 및 제97조의 규정에 의한 가액에 의하여야 한다.(2001. 12. 31. 법률 제65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⑤ 제4항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유로 장부 기타 증빙서류에 의하여 당해 자산의 양도당시 또는 취득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인정 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을 매매사례가액, 감정가액, 환산가액(실지거래가액∙매매사례가액 또는 감정가액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환산한 취득가액을 말한다) 또는 기준시가 등에 의하여 추계조사하여 결정 또는 경정할 수 있다.

제162조의2(양도가액)

② 법 제96조 제1항 제5호의 규정에 의하여 자산의 양도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는 경우는 허위계약서의 작성, 주민등록의 허위이전 등 부정한 방법으로 부동산을 취득 또는 양도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로 한다.

1.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을 위반하여 부동산을 거래한 경우

5. 거래단위별로 기준시가에 의한 양도차익이 1억 원 이상인 경우

제176조의2(추계결정 및 경정)

① 법 제114조 제5항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유"라 함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1. 양도 또는 취득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의 확인을 위하여 필요한 장부∙매매계약서∙영수증 기타 증빙서류가 없거나 그 중요한 부분이 미비된 경우

2. 장부∙매매계약서∙영수증 기타 증빙서류의 내용이 매매사례가액,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에 의한 감정평가법인(이하 이 조에서 "감정평가법인"이라 한다)이 평가한 감정가액 등에 비추어 허위임이 명백한 경우

② 법 제114조 제5항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환산한 취득가액"이라 함은 다음 각호의 방법에 의하여 환산한 취득가액을 말한다.

2. 법 제96조제1항 제1호 내지 제5호의 규정에 의한 토지 및 건물과 제162조의 2제1항의 규정에 의한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의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계산한 가액

양도당시의 실지거래가액, x 취득당시의 기준시가

제3항 제1호의 매매사례가액 양도당시의 기준시가(제164조제7항의 규정에

또는 동항 제2호의 감정가액 규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동항의 규정에 의한

양도당시의 기준시가)

③ 법 제114조 제5항의 규정에 의하여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을 추계결정 또는 경정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방법을 순차로 적용하여 산정한 가액에 의한다. 다만, 제1호의 규정에 의한 매매사례가액 또는 제2호의 규정에 의한 감정가액이 제98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특수관계 있는 자와의 거래에 따른 가액 등으로서 객관적으로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월이내에 당해 자산(주권상장법인 또는 협회등록법인의 주식 등을 제외한다)과 동일성 또는 유사성이 있는 자산의 매매사례가 있는 경우 그 가액

2.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월 이내에 당해 자산(주식 등을 제외한다)에 대하여 2이상의 감정평가법인이 평가한 것으로서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감정가액(감정평가기준일이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월 이내인 것에 한한다)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감정가액의 평균액

3.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환산한 취득가액

4. 기준시가

나. 판단

(1) 양도가액의 산정기준

(가) 이 사건 제 1 부동산

구 소득세법 제96조 제1항 제5호는 기준시가 과세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의할 경우의 하나로 허위계약서의 작성, 주민등록의 허위이전 등 부정한 방법으로 부동산을 취득 또는 양도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를 들고 있으므로 부동산을 취득 또는 양도하는 경우가 아니라 양도자가 양도소득세 신고 시 양도 및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신고함에 있어 사실과 다른 허위계약서를 증빙서류로 제출한 것에 불과한 경우는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0두307 판결 참조).

살피건대, 갑 제7호증, 갑 제8호증의 1, 을 제5호증의 1 내지 8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원고는 매도인 본인 겸 이○○, 이○○ 등을 대리하여 주식회사 ○○○○, 황○○에게 별지목록 기재 각 부동산과 석재 채굴을 위한 부속시설 및 부대설비를 40억 원에 양도하였으나, 그 중 별지목록 기재 부동산에 관하여 매수인들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함에 있어서 등기 편의상 부동산소유명의자별, 필지별로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매매대금을 실지거래가액보다 낮게 기재하여 등기소에 제출한 사실, 원고는 이 사건 양도소득세 예정신고 당시에도 이 사건 제1부동산의 대금이 실제 양도가액보다 낮게 기재된 계약서를 제출한 사실은 인정되나, 이는 양도소득세 예정신고를 함에 있어서 사실과 다른 허위계약서를 증빙서류로 제출한 것에 불과할 뿐 구 소득세법 제96조 제1항 제5호 소정의 '허위계약서의 작성 등 부정한 방법으로 부동산을 취득 또는 양도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는 없다.

결국 피고가 이 사건 제1 부동산의 양도가액을 실지거래가액으로 산정한 것은 위법하고, 기준시가에 의하여 산정하였어야 할 것이다.

(나) 이 사건 제 2 부동산

을 제3호증, 을 제7호증의 1, 2, 을 제8호증의 1, 2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원고는 1981. 1. 1.부터 1993. 1. 8.까지 사이에 위 제2부동산을 취득하여 4촌 동생인 이○○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둔 사실, 이○○는 그 이후 위 제2부동산의 양도 시까지 그에 관하여 어떠한 권리를 행사한 적이 없고 위 제2부동산의 양도 역시 전적으로 원고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양도대금 역시 원고가 수령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위 제2부동산의 양도로 인한 양도소득은 그 실제 소유자인 원고에게 귀속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로서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이 규정하고 있는 실질과세의 원칙에 따라 제2부동산의 양도소득에 대한 양도소득세 납세의무를 부담한다.

한편,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제5조, 제6조의 규정을 종합하면, 누구든지 부동산에 관한 물권을 명의신탁약정에 의하여 명의수탁자의 명의로 등기하여서는 아니되고, 이를 위반한 자는 당해 부동산에 관한 물권을 자신의 명의로 등기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인바, 원고는 위 법률에 위반하여 이○○에게 명의 신탁하여 둔 제2부동산을 자신의 명의로 등기한 후 양도하지 아니하고 이○○를 양도인으로 하는 내용의 허위계약서를 작성하는 등 부정한 방법으로 위 제2부동산을 양도하였으므로, 제2부동산에 대한 양도가액은 구 소득세법 제96조 제1항 제5호, 구 소득세법시행령 제162조의2 제2항 제1호에 의하여 실지거래가액으로 산정하여야 할 것이다.

(2)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

(가) 이 사건 제 1 부동산

구 소득세법 제100조 제1항에는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양도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는 때에는 취득가액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고, 양도가액을 기준시가에 의하는 때에는 취득가액도 기준시가에 의한다고 규정되어 있는바,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제1부동산의 양도가액을 기준시가에 의하는 이상 그 취득가액도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제1부동산의 양도 당시 기준시가 합계액이 734,075,580원, 취득 당시 기준시가 합계액이 375,786,364원인 점은 앞에서 본 바와 같다.

(나) 이 사건 제 2 부동산

① 갑 제7호증, 갑 제8호증의 1, 갑 제12, 13, 14, 15호증, 을 제1호증의 2의 각 기재 및 제1심 증인 김○○, 박○○의 각 증언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이 사건 양도대금 40억 원에 석재 채굴을 위한 장비 및 부대설비 등의 가격이 포함된 사실, 위 굴삭기, 포클레인 등의 기계장비 등은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바, 양도당시 그 시가가 합계 886,427,356원인 사실, 이 사건 제2부동산의 양도당시의 기준시가 합계액은 46,089,400원, 취득당시의 기준시가 합계액은 21,134,642원이며, 별지목록 기재 각 부동산의 양도당시의 기준시가 합계액은 1,251,508,510원인 사실을 인정할 수 있고, 이에 반하는 을 제11호증의 기재는 채용하지 아니하며 달리 반증 없다.

② 이 사건 양도대금 40억 원에서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닌 위 기계장비 등의 대금 886,427,356원을 공제한 나머지 3,113,572,644원이 별지목록 기재 각 부동산의 전체 양도대금(실지거래가액)이 되고, 구 소득세법 제100조 제2항에 의하면, 토지와 건물 등을 함께 취득하거나 양도한 경우로서 토지와 건물 등의 가액의 구분이 불분명한 때에는 취득 또는 양도당시의 기준시가에 의하여 계산한 가액에 비례하여 안분 계산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므로, 그 중 제2부동산의 양도가액은 114,663,778원(= 위 3,113,572,644원 x 제2부동산의 양도당시의 기준시가 46,089,400원/별지목록 부동산 전체의 양도당시의 기준시가 1,251,508,510원)이 된다.

③ 양도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는 이상 구 소득세법 제100조 제1항에 따라 취득가액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야 하고, 구 소득세법 제114조 제5항에는 취득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는 경우로서 장부 기타 증빙서류에 의하여 당해 자산의 취득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인정 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취득가액을 매매사례가액, 감정가액, 환산가액 또는 기준시가 등에 의하여 추계 조사하여 결정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는 바, 이 사건 제2부동산 취득일 전후 3월 이내 동일성 또는 유사성이 있는 자산의 매매사례나 2 이상의 감정평가법인이 평가한 것으로서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감정가액이 존재한다고 볼 아무런 자료 없으므로,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76조의2 제3항 제3호, 제2항 제2호(2000.12.29. 대통령령 170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의 규정에 의하여 취득가액을 환산하여야 하고, 그 경우 제2부동산의 취득가액은 52,579,940원(= 위 ②항의 양도가액 114,663,778원 x 취득 당시의 기준시가 21,134,642원/양도당시의 기준시가 46,089,400원)이 된다.

피고는, 제2부동산의 취득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급감정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하나,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76조의2 제3항 제2호에는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월 이내에 당해 자산(주식 등을 제외한다)에 대하여 2이상의 감정평가법인이 평가한 것으로서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감정가액(감정평가기준일이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월 이내인 것에 한한다)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감정가액의 평균액을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으로 추계결정 또는 경정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여기서 감정가액이 '있는 경우'라 함은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월 이내에 감정평가가 이루어져 과세처분 당시에 감정가액이 이미 존재하고 있던 것만을 의미할 뿐 피고 주장과 같이 과세처분 이후의 시점에서 소급 갑정을 통하여 평가된 가액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으므로, 제2부동산의 취득가액에 대한 시가감정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

(3) 정당한 세액

위와 같이 제1부동산에 대하여는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제2부동산에 관하여는 실지거래가액을 기준으로 원고가 납부하여야 할 정당한 2000년 귀속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면 별지 세액계산표 '정당한 세액'란 기재와 같이 35,493,310원(국고금 단수계산법에 따라 10원 미만의 단수는 계산하지 아니한다)이 된다.

한편 피고는, 이 사건 기계장치 등은 사업용 자산에 해당하므로 처분 시에 종합소득세 및 부가가치세를 부과하여야 하는데, 부가가치세법 제48조의2 제4항 제2호 단서에 의하여 장부가액을 기준으로 안분 계산하여 이 사건 기계장치 등의 양도가액을 산정하면 금 1,352,220,336원이 되고, 위 금액과 장부상 취득가액 709,136,414원의 차액인 643,083,922원을 기준으로 종합소득세액을 추가로 산출하면 257,233,568원이 되며, 위 양도가액을 기준으로 공급가액(양도가액/1.1)을 산출한 다음 이를 기준으로 부가가치세 및 가산세를 산정하면 추가 산출세액은 147,514,948원이 되므로, 가사 이 사건 부과처분이 위법하다고 하더라도 피고가 부과한 양도소득세액 377,140,500원은 위와 같이 정당하게 산출한 추가세액 합계 404,748,516원(종합소득세액 257,233,568원 + 부가가치세 및 가산세 147,514,948원)의 범위 내에 있게 되고, 따라서 피고의 이 사건 부과처분은 위법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살피건대, 과세처분취소소송의 소송물은 정당한 세액의 객관적 존부이므로 과세관청으로서는 소송도중이라도 사실심 변론종결 시까지는 당해 처분에서 인정한 과세표준 또는 세액의 정당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를 제출하거나 처분의 동일성이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그 사유를 교환∙변경할 수 있는 것이나, 처분의 동일성은 원칙적으로 과세단위와 처분사유의 범위를 달리하는 것인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소득세법상 거주자의 소득은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분리과세하고 있고, 소득세의 과세표준은 각 소득금액에 따라 구분하여 계산하며 각 소득금액에 관한 소득공제나 세율 및 세액의 계산의 순서에 차이가 있어서 종합소득과 양도소득은 합산될 수 없으며(대법원 1987. 11. 10. 선고 86누491 판결참조), 부가가치세 또한 양도소득세와는 근거 법률 및 과세의 기초사실을 달리하고 있으므로, 피고가 과세단위를 달리하는 종합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등으로 이 사건 처분사유를 변경하는 것은 처분의 동일성을 해하는 것이 되어 허용될 수 없다. 따라서 이 사건 과세처분액이 원고가 납부하여야 할 종합소득세 및 부가가치세의 정당한 세액 범위 내에 있어 적법하다는 피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3. 결론

그렇다면, 이 사건 처분 중 앞에서 본 정당한 세액 35,493,310원을 초과하는 부분은 위법하므로 그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는 이유 있어 이를 인용하고, 나머지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할 것인바, 제1심 판결은 이와 결론을 일부 달리하므로 제1심 판결을 변경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세액계산표

(단위 : 원)

구분

결정처분

정당한 세액

비고

양도가액

2,493,518,738

848,739,358

734,075,580 + 114,663,778

취득가액

1,268,616,243

428,366,304

375,786,364 + 52,579,940

필요경비

13,595,722

14,539,176

토지 취득기준시가x3%,

건물 취득기준시가x10%

양도차익

1,211,306,773

405,833,878(①)

장기보유

특별공제

363,392,031

121,750,160

①x30%

양도소득

금액

847,914,742

284,083,718(②)

당해연도

소득금액

152,568,612

152,568,612

양도소득

금액조정

1,000,483,354

436,652,330(③)

양도소득

기본공제

2,500,000

2,500,000

과세표준

997,983,354

434,152,330

세율

1,500만원+

6천만 원

초과금액의 40%

1,500만원+

6천만 원

초과금액의 40%

산출세액

390,193,341

164,660,932(④)

예정신고납부

세액공제

18,316,828

18,316,828

기 납부세액

121,932,580

121,932,580

결정세액

249,943,933

24,411,520(⑤)

신고불성실

가산세

20,595,483

2,008,037(⑥)

④x신고하지 아니한 소득금액

53,249,681원

(② - 신고 소득금액 230,834,027원)/③

x10%

납부불성실

가산세

106,601,087

9,073,762(⑦)

⑤x5/10,000 x 579일(2001.5.31.부터

2002.12.31.까지) - ⑤x 3/10,000 x 274일

(2003.1.1.부터 2003.10.1.까지)

총 결정세액

377,140,503

35,493,319

⑤+⑥+⑦

목록

순번

소재지

지번

지목

면적(㎡)

명의인

취득일

양수인

양도기준시가

취득기준시가

1

○○리

산38-1

임야

24774

원고

1985.1.1.

(주)○○산업

131,054,460

2,204,886

2

○○리

산38-27

임야

595

원고

1985.1.1.

(주)○○산업

1,993,250

3,333,190

3

○○리

산38-28

임야

198

원고

1985.1.1.

(주)○○산업

663,300

1,109,196

4

○○리

산38-29

임야

298

원고

1985.1.1.

(주)○○산업

998,300

1,669,396

5

○○리

산38-30

임야

8033

원고

1985.1.1.

(주)○○산업

42,494,570

45,000,866

6

○○리

산38-31

도로

297

원고

1985.1.1.

(주)○○산업

516,780

8,613

7

○○리

산38-32

임야

298

원고

1985.1.1.

(주)○○산업

998,300

123,372

8

○○리

산38-35

수도용지

1675

원고

1985.1.1.

(주)○○산업

9,547,500

48,575

9

○○리

산38-36

임야

2417

원고

1985.1.1.

(주)○○산업

12,785,930

14,448,826

10

○○리

산38-37

임야

9374

원고

1985.1.1.

(주)○○산업

49,588,460

56,037,772

11

○○리

산38-38

임야

10390

원고

1985.1.1.

(주)○○산업

54,963,100

62,111,420

12

○○리

산38-39

임야

1585

원고

1985.1.1.

(주)○○산업

8,384,650

9,475,130

13

○○리

산38-40

임야

3004

원고

1985.1.1.

(주)○○산업

15,891,160

17,957,912

14

○○리

산38-41

임야

2087

원고

1985.1.1.

(주)○○산업

6,991,450

12,202,689

15

○○리

354-8

대지

175

원고

1985.1.1.

(주)○○산업

5,652,500

3,382,100

16

○○리

355-17

대지

258

원고

1985.1.1.

황○○

6,579,000

4,529,448

17

○○리

355-18

대지

255

원고

1985.1.1.

황○○

6,502,500

4,476,780

18

○○리

355-19

대지

569

원고

1985.1.1.

황○○

14,509,500

9,989,364

19

○○리

355-21

잡종지

79

원고

1985.1.1.

(주)○○산업

2,014,500

1,458,814

20

○○리

355-44

체육용지

985

원고

1985.1.1.

황○○

17,582,250

12,104,665

21

○○리

451

도로

1008

원고

1985.1.1.

(주)○○산업

18,849,600

2,614,752

22

○○리

452-1

잡종지

10909

원고

1985.1.1.

황○○

123,271,700

15,752,596

23

○○리

466-9

임야

2626

원고

1985.1.1.

(주)○○산업

48,318,400

15,761,252

24

○○리

906-113

대지

334

원고

1985.1.1.

(주)○○산업

9,185,000

7,155,616

25

○○리

906-114

대지

238

원고

1985.1.1.

(주)○○산업

6,759,200

5,098,912

26

○○리

906-117

대지

383

원고

1985.1.1.

(주)○○산업

8,579,200

8,205,392

27

○○리

906-118

대지

208

원고

1985.1.1.

(주)○○산업

5,470,400

4,456,192

28

○○리

906-119

대지

99

원고

1985.1.1.

(주)○○산업

3,732,300

2,120,976

29

○○리

906-80

도로

212

원고

1985.1.1.

황○○

3,763,000

139,072

30

○○리

357

496

원고

1985.1.1.

황○○

4,488,800

2,976,992

31

○○리

356-1

446

원고

1985.1.1.

황○○

5,307,400

2,968,130

32

○○리

358-2

대지

340

원고

1985.1.1.

황○○

5,576,000

3,484,320

33

○○리

산46

임야

9125

원고

1985.1.1.

(주)○○산업

48,271,250

12,254,875

34

○○리

466-18

임야

20

원고

(주)○○산업

35

○○리

451-1

2417

원고

황○○

36

○○리

452

1894

원고

황○○

37

○○리

464-13

1045

원고

황○○

38

○○리

464-58

661

원고

황○○

39

○○리

905-21

335

원고

황○○

40

○○리

905-24

298

원고

황○○

41

○○리

905-25

329

원고

황○○

42

○○리

906-6

1501

원고

황○○

43

○○리

1024-3

건물

108

원고

1985.1.1.

(주)○○산업

4,312,000

2,371,600

44

○○리

1024-3

건물

28

원고

1985.1.1.

(주)○○산업

1,428,000

1,036,000

45

○○리

1024-3

건물

72

원고

1985.1.1.

(주)○○산업

501,900

1,720,800

46

○○리

1024-3

건물

36

원고

1985.1.1.

(주)○○산업

532,600

1,136,000

47

○○리

1024-3

건물

29

원고

1985.1.1.

(주)○○산업

261,000

841,000

48

○○리

1024-3

건물

212

원고

1985.1.1.

(주)○○산업

4,866,800

6,559,600

49

○○리

1024-3

건물

79

원고

1985.1.1.

(주)○○산업

7,365,600

4,593,600

50

○○리

966-21

건물

86

원고

1985.1.1.

(주)○○산업

7,758,000

5,085,800

51

○○리

966-21

건물

17

원고

1985.1.1.

(주)○○산업

510,000

527,000

52

○○리

966-21

건물

7

원고

1985.1.1.

(주)○○산업

198,000

244,200

53

○○리

353-8

9(30)

원고및이○○

1985.1.1.

황○○

206,100

54,018

54

○○리

355-20

45(149)

원고및이○○

1985.1.1.

황○○

1,001,280

268,289

55

○○리

463-3

33(109)

원고및이○○

1985.1.1.

황○○

712,860

196,265

56

○○리

463-4

135(450)

원고및이○○

1985.1.1.

황○○

2,605,500

810,270

57

○○리

906-108

216(721)

원고및이○○

1985.1.1.

황○○

5,061,420

1,056,625

58

○○리

906-109

165(549)

원고및이○○

1985.1.1.

황○○

3,689,280

804,559

59

○○리

906-110

182(605)

원고및이○○

1985.1.1.

황○○

4,065,600

886,627

60

○○리

906-111

62(205)

원고및이○○

1985.1.1.

황○○

1,377,600

300,427

61

○○리

906-112

62(208)

원고및이○○

1985.1.1.

황○○

1,397,760

1,559,313

62

○○리

906-115

97(324)

원고및이○○

1985.1.1.

황○○

2,177,280

474,822

63

○○리

906-116

103(344)

원고및이○○

1985.1.1.

황○○

2,311,680

504,132

64

○○리

906-120

19(63)

원고및이○○

1985.1.1.

황○○

451,710

92,326

65

○○리

420-2

750

이○○

1993.1.8

황○○

9,825,000

9,750,000

66

○○리

356-3

182

이○○

1985.1.1.

황○○

2,002,000

1,240,694

67

○○리

356-2

440

이○○

1985.1.1.

황○○

5,236,00

2,928,200

68

○○리

361

228

이○○

1986.10.10.

황○○

2,325,600

775,200

69

○○리

420-1

800

이○○

1986.5.15.

황○○

13,760,000

2,395,200

70

○○리

465-1

674

이○○

1985.1.1.

황○○

12,940,800

4,045,348

71

○○리

465

671

이○○

황○○

72

○○리

274-4

202

이○○

황○○

4,080,400

3,555,200

73

○○리

349-16

77

이○○

황○○

1,470,700

1,355,200

74

○○리

463-2

182

이○○

황○○

3,967,600

1,570,660

75

○○리

536-1

247

이○○

황○○

4,446,000

1,610,440

76

○○리

536-6

988

이○○

황○○

18,278,000

6,441,760

77

○○리

904-3

17

이○○

황○○

1,113,500

1,247,800

78

○○리

905-18

335

이○○

황○○

29,145,000

48,240,000

79

○○리

905-23

203

이○○

황○○

11,875,500

10,718,400

80

○○리

905-26

262

이○○

황○○

15,196,000

11,816,200

81

○○리

906-1

1082

이○○

황○○

57,617,300

51,888,000

82

○○리

906-29

277

이○○

황○○

12,991,300

15,262,700

83

○○리

906-34

962

이○○

황○○

61,952,800

55,892,200

84

○○리

906-35

595

이○○

황○○

38,318,000

34,569,500

85

○○리

906-38

552

이○○

황○○

30,304,800

27,876,000

86

○○리

906-44

426

이○○

황○○

12,993,000

13,845,000

87

○○리

906-69

575

이○○

황○○

34,327,500

30,935,000

88

○○리

906-156

126

이○○

황○○

8,769,600

8,706,600

89

○○리

906-157

388

이○○

황○○

22,504,000

13,657,600

90

○○리

906-158

277

이○○

황○○

16,536,900

14,902,600

91

○○리

906-159

276

이○○

황○○

16,477,200

14,848,800

92

○○리

906-165

151

이○○

황○○

10,509,600

10,434,100

※ 원고 및 이○○ 공유 명의의 토지 면적은 원고의 10분의 3 지분만을 의미하고 ( )속의 면적은 그 토지 전체의 면적임. 끝.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