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동부지방법원 2015.04.10 2014가단42067
손해배상(기)
주문

1. 원고(반소피고)의 본소 청구를 기각한다.

2. 원고(반소피고)는 피고(반소원고)에게,

가. 별지...

이유

기초사실

피고는 2014. 6. 5. 원고와 사이에, 피고가 원고에게 피고 소유의 서울 송파구 B 철근콘크리트조 평슬래브지붕 6층 업무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및 주택(이하 ‘ 이 사건 건물’이라고 한다) 중 4층(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과 같다. 이하 ‘4층’이라고 한다)을, 임대차보증금 3,000만 원, 월차임 350만 원(부가가치세 별도, 후불), 임대차기간 2014. 6. 20.부터 2016. 6. 20.까지로 정하여 임대하는 내용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그 무렵 원고에게 4층을 인도하였다. 나. 피고는 또한 같은 날 원고와 사이에, 피고가 원고에게 이 사건 건물 중 6층 전체(이하 ‘6층’이라고 한다)를, 임대차보증금 2,000만 원, 월차임 300만 원(부가가치세 별도, 후불), 임대차기간 2014. 7. 31.부터 2016. 7. 30.까지로 정하여 임대하는 내용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다.

[인정근거] 다툼없는 사실, 갑 1, 2, 을 1-1, 1-2의 각 기재와 변론 전체의 취지.

본소 청구에 대한 판단 원고의 주장 원고는 이 사건 본소 청구원인으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원고는 농산물 직거래를 위한 무인 수납함 사업을 추진할 목적으로, 피고로부터 4층 및 6층을 임차하였다.

원고는 2014. 6. 23. 4층을 인도받아 직원모집 등의 업무를 시작하였다.

원고와 피고는, 원고의 부족한 자금사정을 고려하여 임대차보증금 중 1,500만 원은 2014. 10월말까지 지불을 유예하되, 월차임을 400만 원(부가가치세 별도)으로 증액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런데 피고는 2014. 7. 31. 원고에게 6층을 인도하여야 함에도 6층을 인도하지 않았고, 이로 말미암아 원고는 6층 사무실에 입주할 수 없었으며 그 결과 위 무인택배함 사업이 무산되었고, 위 사업 무산으로 인하여 원고가 4층 사무실에 지출한 인테리어 공사비, 직원 인건비 등도 모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