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3.02.19 2011가단315112
사해행위취소
주문

1.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원고가 2007. 8. 1. 주식회사 C(이하 ‘소외 회사’라고 한다)에 5억원을 투자할 때 소외 회사의 대표이사 B이 그 반환 채무를 연대보증하였는데, 원고는 2009. 1. 30. 소외 회사의 투자 약정 위반을 이유로 그 투자 약정을 해지하였고, 소외회사는 2009. 6. 25. 원고에게 투자원리금 586,835,810원을 반환하는 공정증서를 작성하여 교부하였다.

나. 한편 소외 회사는 2010. 4. 20. 피고로부터 5억원을 차용하면서 그 반환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B이 그 소유인 별지 기재 부동산(이하 ‘이 사건 부동산’이라고 한다)에 관하여 피고와 2010. 4. 21. 근저당권설정계약을 체결하고 서울중앙지방법원 중부등기소 2010. 4. 22. 접수 제20041호로 채권최고액 3억원의 근저당권설정등기(이하 ‘1차 근저당권설정등기’라고 한다)를 마쳤다. 다.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1차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기입되기 전 이미 근저당권자 국민은행, 채권최고액 4억 5,500만원, 채무자 D의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기입되어 있었는데, 피고는 주식회사 푸른상호저축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아 국민은행에 대한 채무를 변제하려는 B의 요청으로 2010. 8. 16. 1차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밟았고, 같은 날 근저당권자 주식회사 푸른상호저축은행, 채권최고액 4억 5,500만원, 채무자 E의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기입되었다. 라. 그 후 B은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 중부등기소 2010. 8. 19. 접수 제39884호로 근저당권자 피고, 채권최고액 3억 5,000만원의 근저당권설정등기(이하 ‘2차 근저당권설정등기’라고 한다)를 마쳤다.

마. 그런데 이 사건 소송 계속 중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 F로 임의경매가 개시되어 2012. 12. 20. 피고에게 214,072,541원이...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