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2015.06.17 2015고정491
식품위생법위반
주문

피고인은 면소.

이유

1.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은 광명시장으로부터 유흥주점 영업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2014. 02. 12부터 2014. 05. 25.경 단속시 까지 광명시 C 5층에서 'D주점'라는 상호로 테이블 38개, 의자 152개, DJ박스 등 음향시설 및 자막용 영상장치, 특수조명시설(싸이키, 레이져 조명 등)을 갖추고 동소를 찾은 불특정 다수인이 술을 마시고 흥겨워지면 테이블 옆 공간에서 춤을 출 수 있도록 하고 1일 평균 30만 원 상당의 주류와 안주류 등을 조리ㆍ판매하여 유흥주점 영업을 하였다.

2. 판단 영업범이란 집합범의 일종으로서 그 구성요건의 성질상 동종행위의 반복이 당연히 예상되는 범죄이므로, 이러한 영업범에 해당하는 행위로서 일정한 기간 동안 같은 장소에서 계속적으로 반복된 수개의 행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포괄적으로 1개의 범죄를 구성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대법원 1983. 6. 14. 선고 83도939 판결 등 참조), 포괄일죄의 관계에 있는 범행의 일부에 대하여 판결이 확정된 경우에는 사실심 판결선고시를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이루어진 범행에 대하여는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쳐 면소의 판결을 선고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6. 5. 11. 선고 2006도1252 판결 참조). 이 사건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에서 식품위생법위반죄로 약식명령을 발령받자 이에 대하여 정식재판을 청구하였고, 2014. 9. 4. 같은 법원에서 벌금 100만 원을 선고받았으며, 위 1심 판결에 항소하였으나 2015. 1. 9. 수원지방법원에서 항소기각판결을 선고받았고, 이후 상고하지 아니하여 2015. 1. 20. 위 판결이 확정된 사실, 위 확정판결의 범죄사실은 ‘피고인은 광명시 C 5층에서 ‘D주점'라는 상호의 일반음식점을 운영하는 사람으로서, 유흥주점영업을 하려는 자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