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6.03.17 2015노2534
상해치사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법리 오해 피해자의 사망에 대한 예견 가능성이 없었으므로 상해 치사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또 피해자가 달려드는 데 대하여 소극적으로 피해자를 밀쳤을 뿐이므로 정당 방위 내지 정당행위에 해당하여 위법성이 조각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과잉 방위에 해당하므로 처벌할 수 없거나 형이 감면 되어야 한다.

나. 양형 부당 원심이 선고한 형( 징역 4년) 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법리 오해 주장에 대한 판단 (1) 예견 가능성이 없었다는 주장에 대한 판단 원심 및 당 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을 종합하면, 피고인이 피해자와 말다툼을 벌이다가 두 손으로 피해자의 가슴 부위를 강하게 민 사실, 당시 술에 많이 취한 피해자가 보도 블록 위에서 약 20cm 높이가 낮은 주차장 바닥 쪽으로 뒤로 넘어지면서 큰 소리가 날 정도로 머리를 먼저 부딪친 사실, 피해자가 외상성 지주 막하 출혈 등 상해를 입고 두 차례 두개골 절제술 및 혈종 제거 술을 받았으나 결국 중증 뇌부종, 뇌간마비로 사망에 이른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에 나타나는 피고인이 행사한 유형력의 정도와 피해자의 대응상태, 피해자가 입은 상해의 정도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으로서도 피해자에게 가한 상해로 인하여 피해자가 사망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므로, 원심의 판단에 사망이라는 결과를 예견할 수 없었음에도 상해 치사죄를 유죄로 인정한 잘못이 있다고

볼 수 없다.

(2) 정당 방위 내지 과잉 방위 또는 정당행위가 성립한다는 주장에 대한 판단 현장을 목격한 I은 수사기관에서부터 원심 법정에 이르기까지 ‘ 피해 자가 피고인에게 달려든...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