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남부지방법원 2015.01.15 2014나5581
공사대금
주문

1. 제1심 판결을 취소한다.

2.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3. 소송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당사자의 주장

가. 원고 C은 2011년 3월경 서산시 D 지상에 주택을 신축하는 공사를 E에게 도급 주었고, E은 위 주택신축공사 중 가설재 설치공사, 목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피고에게 하도급 주었는데, 피고는 그 중 목공사를 F에게,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원고에게 다시 하도급 주었다.

이에 원고는 2011. 4. 23.부터 2011. 5. 28.까지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마무리하였으므로 피고는 약정한 공사대금 중 원고가 받지 못하고 있는 1,470만 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나. 피고 원고가 시공하였다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피고가 F에게 하도급 준 것이므로 피고는 원고에 대하여 공사대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다툰다.

2. 판단 그러므로, 원고가 피고로부터 콘크리트 공사를 하도급 받았는지에 관하여 보건대, 이에 부합하는 듯한 증거로는 갑 4호증의 5, 갑 5호증의 4, 갑 6호증의 1, 2의 각 기재가 있으나 위 증거들만으로는 이를 인정하기 부족하고, 오히려 갑 2~5호증(가지번호 있는 것은 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원고가 서울남부지방법원 2011가소197581호로 C을 상대로 이 사건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공사대금 1,470만 원의 지급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였으나, 제1심에서 패소한 사실, 이에 대하여 원고가 2012나2465호로 항소하였으나, 2012. 9. 20. 항소기각 된 사실, 원고는 위 소송절차에서, 피고는 위 주택신축공사 중 일부를 E로부터 하도급받아 그 중 철근 및 전기공사를 F에게 재하도급을 주었고, 원고는 F로부터 그 중 철근공사에 관한 부분을 다시 하도급 받았는데, 원고가 F로부터 지급받지 못한 공사대금 3,200만 원 중 1,470만 원을 C이 지급하기로 약정하였으므로 C은 위 돈을 원고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였으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