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06.22 2016노5212
사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

A를 징역 1년 4월에, 피고인 B을 징역 10월에, 피고인 C을 징역...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사실 오인 및 법리 오해 1) 피고인 A 가) 공소사실 제 1의 가항 피고인 A는 주식회사 J( 이하 ‘J’ 라 한다) 의 회장 직함을 사용하였으나 명품수입 업무만을 담당하였을 뿐 상품권 판매사업이나 자금조달 업무는 K이 담당하였으므로, 피고인 A는 공소사실 기재와 같이 피해자 L, R, Q에게 기망행위를 한 적이 없다.

나) 공소사실 제 1의 나 항 피고인 A는 피해자 L에게 아우 디 승용차를 구입하라는 권유를 하거나 할부금 등을 J에서 부담하겠다는 기망을 한 적이 없다.

다) 공소사실 제 1의 다 항 피고인 A는 피해자 L에게 아우 디 차량을 담보로 대출을 권유한 적이 없고, 피해자 L가 대출금의 대부분을 사용하여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사기죄의 구성 요건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라) 공소사실 제 1의 라 항 피해자 L는 K과 협의하여 카드 깡을 하였을 뿐 피고인 A는 이에 관여한 적이 없고, 최초의 카드 깡 이후 2회, 3회 카드 깡은 최초 카드 깡 대금을 메우기 위한 소위 ‘ 돌려 막 기 ’를 한 것으로 새로운 피해발생으로 보기 어렵다.

2) 피고인 B 가) 공소사실 제 1의 가항 피해자 L는 2011. 9. 경부터 J에 매일 출근하다 시피 하였고, 부사장 직함을 사용하였으며, K과 내연관계가 된 후 자신의 언니인 피해자 R 나 친구인 피해자 Q에게 투자를 권유하였다.

피고인

B은 피해자 R 나 Q을 본 적이 없고, 피해자 L에게 투자를 권유하지도 않았다.

나) 공소사실 제 1의 나 항 피해자 L는 J의 부사장으로서 회사 운영이나 자금 사정을 잘 알고 있었고, K과 의논하여 아우 디 차량을 구입하였을 뿐 피고인 B이 이에 관여한 바가 없다.

다) 공소사실 제 1의 다 항 피고인 B은 피해자 L 명의의 아우 디 차량을 담보로 제공하고 돈을 빌리는 과정에 관여한 바가 없고, 아우 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