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청주지방법원 2018.08.31 2018노155
업무상배임등
주문

피고 인과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피고인( 사실 오인, 법리 오해, 양형 부당) 1) 사실 오인 및 법리 오해 가) 2016 고단 66 사건 중 사문서 위조, 위조사 문서 행사 부분에 관하여 F은 ㈜D( 이하, ‘ 이 사건 회사’ 라 한다) 의 형식상 대표이사인 E로부터 이 사건 회사의 경영에 관한 모든 권한을 위임 받아 행사하고 있었고, 피고인은 F으로부터 이 사건 회사와 J 사이의 공정 증서에 대한 작성 권한 등을 위임 받았으므로 피고인이 2015

3. 27. 경 E 명의의 위임장을 위조하였다고

볼 수 없다.

E가 2015. 3. 6. 경 F 및 피고인에 대한 위임계약을 해지하는 취지의 내용 증명우편을 발송하여 설령 F이 자신의 경영권을 박탈 당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위임장 작성 무렵 위 내용 증명우편을 송달 받지 못한 피고인은 F에게 여전히 경영권이 있는 것으로 믿고 (F으로부터 부여 받은 권한에 따라) 위임장을 작성한 것이므로 위조의 고의가 없었다고

보아야 한다.

나) 2016 고단 66 사건 중 공정 증서 원본 불실 기재 부분에 관하여 차용증이 작성된 2014. 11. 30. 경 및 금전소비 대차 공정 증서가 작성된 2015

3. 27. 경 J은 이 사건 회사에 대하여 3억 5천만 원을 초과하는 채권을 보유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앞서 본 바와 같이 피고인은 E, F으로부터 공정 증서의 작성 권한을 부여 받았으므로, 피고인이 2015. 3. 27. 경 이 사건 회사를 대리하여 J을 채권자, 이 사건 회사를 채무 자로 하는 3억 5천만 원 상당의 금전소비 대차 공정 증서를 작성하였다고

하여 이를 허위사실 신고 행위라고 볼 수 없다.

다) 2016 고단 66 사건 중 업무상 배임 부분에 관하여 ① 피고인은 이 사건 회사에 재직하거나 일정한 직책을 가진 사실이 없으므로 피고인을 ‘ 이 사건 회사의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에 있는 자 ’라고 볼 수 없고,...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