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9.05.30 2018구합65972
유족급여및장의비부지급처분취소
주문

1.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유

처분의 경위

소외 E(F생)은 1979. 5. 1.부터 1984. 3. 1.까지 4년 10개월 동안 G 탄광에서 광원으로 근무하였다.

E은 2003. 7. 28. 진폐 정밀진단 시 ‘장해 13급(병형 1/1, 심폐기능 F0)' 판정을 받았고, 2007. 8. 9. 최종 정밀진단 시 ‘요양[병형 1/2, 합병증 tba(활동성 폐결핵)]' 판정을 받아 근로복지공단 H병원을 거쳐 I병원에서 입원 요양을 하였다.

E은 2015. 9. 20. I병원에서 외출하여 다음 날 J병원 정신과에서 진료를 받은 후 I병원으로 복귀하지 않고 강원 영월군 K 소재 자택으로 돌아갔으며, 2015. 9. 23. 06:25경 자택 창고에 있던 나일론 끈을 이용하여 화장실 가는 길목에 있던 약 2.5미터 높이의 서까래에 목을 매어 자살하여 사망하였다

(이하 E을 ‘망인’이라 하고, 망인의 사망을 ‘이 사건 자살’이라 한다). 망인의 자녀들인 원고들은 피고에게 유족급여 및 장의비의 지급을 청구하였으나, 피고는 2018. 2. 27. ‘진폐증과 관련하여 정상적인 인지능력 등이 뚜렷하게 저하된 상태에서 이 사건 자살이 발생하였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진폐증과 사망 간에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하였다.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3, 4, 5호증, 을 제1, 1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원고들의 주장 망인은 진폐증으로 인한 장기간 입원 생활, 호흡곤란, 수면장애 등으로 우울증이 발생 또는 악화되어 왔고, 이로 인하여 이 사건 자살에 이르게 되었다.

결국 망인은 진폐증으로 요양 중에 그로 인해 발생한 우울증으로 인한 정신적 이상 상태에서 자살하였으므로, 진폐증과 망인의 이 사건 자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존재한다.

관계 법령 별지 1....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