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22. 3. 17. 선고 2019다226975 판결
[손해배상(기)][공2022상,679]
판시사항

법관의 재판에 대한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되기 위한 요건 / 재판에 대하여 불복절차 또는 시정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이를 통한 시정을 구하지 않은 사람이 국가배상에 의한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및 이는 보전재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법관의 재판에 법령 규정을 따르지 않은 잘못이 있더라도 이로써 바로 재판상 직무행위가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에서 말하는 위법한 행위로 되어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법관의 오판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되려면 법관이 위법하거나 부당한 목적을 가지고 재판을 하였다거나 법이 법관의 직무수행상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기준을 현저하게 위반하는 등 법관이 그에게 부여된 권한의 취지에 명백히 어긋나게 이를 행사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판례이다.

특히 재판에 대하여 불복절차 또는 시정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법관이나 다른 공무원의 귀책사유로 불복에 의한 시정을 구할 수 없었다거나 그와 같은 시정을 구할 수 없었던 부득이한 사정이 없는 한, 그와 같은 시정을 구하지 않은 사람은 원칙적으로 국가배상에 의한 권리구제를 받을 수 없다.

민사집행법은 보전처분 취소재판에 대한 즉시항고에 대하여 집행정지의 효력을 부여하고 있는 민사소송법 제447조 준용을 배제하고 있다( 민사집행법 제286조 제7항 , 제287조 제5항 , 제288조 제3항 , 제307조 제2항 ). 이는 집행부정지 원칙을 채택함으로써 증가하는 채권자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보전재판의 신속한 절차진행이 더 중요하다고 본 입법자의 결단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민사집행법 제289조 는 “가압류를 취소하는 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가 있는 경우에, 불복의 이유로 주장한 사유가 법률상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고 사실에 대한 소명이 있으며, 그 가압류를 취소함으로 인하여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길 위험이 있다는 사정에 대한 소명이 있는 때에는, 법원은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담보를 제공하게 하거나 담보를 제공하지 아니하게 하고 가압류취소결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라고 정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가압류취소결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고, 가처분취소결정에 대해서도 이를 준용하고 있다( 민사집행법 제301조 ). 이러한 효력정지 제도는 법원의 잘못된 보전처분 취소결정으로 생길 수 있는 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법률에 규정된 긴급 구제절차라고 할 수 있다.

보전재판의 특성상 신속한 절차진행이 중시되고 당사자 일방의 신청에 따라 심문절차 없이 재판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는 사정을 고려하여 민사집행법에서는 보전재판에 대한 불복 또는 시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즉시항고와 효력정지 신청 등 구제절차를 세심하게 마련해 두고 있다. 재판작용에 대한 국가배상책임에 관한 판례는 재판에 대한 불복절차 또는 시정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면 이를 통한 시정을 구하지 않고서는 원칙적으로 국가배상을 구할 수 없다는 것으로, 보전재판이라고 해서 이와 달리 보아야 할 이유가 없다.

원고,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씨케이 담당변호사 곽종훈)

피고,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9. 3. 22. 선고 2018나2013910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1. 법관의 재판, 특히 보전처분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에 관한 법리

가. 법관의 재판에 법령 규정을 따르지 않은 잘못이 있더라도 이로써 바로 재판상 직무행위가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에서 말하는 위법한 행위로 되어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법관의 오판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되려면 법관이 위법하거나 부당한 목적을 가지고 재판을 하였다거나 법이 법관의 직무수행상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기준을 현저하게 위반하는 등 법관이 그에게 부여된 권한의 취지에 명백히 어긋나게 이를 행사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판례이다 ( 대법원 2001. 3. 9. 선고 2000다29905 판결 , 대법원 2001. 4. 24. 선고 2000다16114 판결 , 대법원 2001. 10. 12. 선고 2001다47290 판결 , 대법원 2003. 7. 11. 선고 99다24218 판결 참조).

특히 재판에 대하여 불복절차 또는 시정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법관이나 다른 공무원의 귀책사유로 불복에 의한 시정을 구할 수 없었다거나 그와 같은 시정을 구할 수 없었던 부득이한 사정이 없는 한, 그와 같은 시정을 구하지 않은 사람은 원칙적으로 국가배상에 의한 권리구제를 받을 수 없다 ( 대법원 2003. 7. 11. 선고 99다24218 판결 , 대법원 2016. 10. 13. 선고 2014다215499 판결 등 참조).

나. 민사집행법은 보전처분 취소재판에 대한 즉시항고에 대하여 집행정지의 효력을 부여하고 있는 민사소송법 제447조 준용을 배제하고 있다( 민사집행법 제286조 제7항 , 제287조 제5항 , 제288조 제3항 , 제307조 제2항 ). 이는 집행부정지 원칙을 채택함으로써 증가하는 채권자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보전재판의 신속한 절차진행이 더 중요하다고 본 입법자의 결단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민사집행법 제289조 는 “가압류를 취소하는 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가 있는 경우에, 불복의 이유로 주장한 사유가 법률상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고 사실에 대한 소명이 있으며, 그 가압류를 취소함으로 인하여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길 위험이 있다는 사정에 대한 소명이 있는 때에는, 법원은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담보를 제공하게 하거나 담보를 제공하지 아니하게 하고 가압류취소결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라고 정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가압류취소결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고, 가처분취소결정에 대해서도 이를 준용하고 있다( 민사집행법 제301조 ). 이러한 효력정지 제도는 법원의 잘못된 보전처분 취소결정으로 생길 수 있는 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법률에 규정된 긴급 구제절차라고 할 수 있다 .

보전재판의 특성상 신속한 절차진행이 중시되고 당사자 일방의 신청에 따라 심문절차 없이 재판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는 사정을 고려하여 민사집행법에서는 보전재판에 대한 불복 또는 시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즉시항고와 효력정지 신청 등 구제절차를 세심하게 마련해 두고 있다. 재판작용에 대한 국가배상책임에 관한 판례는 재판에 대한 불복절차 또는 시정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면 이를 통한 시정을 구하지 않고서는 원칙적으로 국가배상을 구할 수 없다는 것으로, 보전재판이라고 해서 이와 달리 보아야 할 이유가 없다 .

2. 원심판단의 당부

가. 원심은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원고는 적법한 제소명령 기간 내에 제소를 하였는데 재판부가 제소기간의 만료일을 오인하여 이 사건 가압류취소결정을 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원고가 배당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잘못은 비재량적인 절차상 과오이고, 재판부가 재도의 고안을 통해 스스로 경정 조치를 하지도 않은 사정에 비추어 보면, 이는 법관의 직무수행상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기준을 현저하게 위반한 경우에 해당한다. 원고가 이 사건 가압류취소결정에 대해 즉시항고를 제기하면서 민사집행법 제289조 에 따른 효력정지 신청을 하지 않았으나, 원고가 즉시항고 제기 당시에 구치소에 수감 중이었고, 항고심 재판부가 직권으로 그 효력정지를 할 수도 있었던 사정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사유로 국가배상책임을 부정할 수 없다.

나. 그러나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원심판결을 받아들일 수 없다.

원고는 이 사건 가압류취소결정으로 인한 긴급한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효력정지를 신청할 기회가 있었으나 이를 신청하지 않았다. 원심은 원고가 당시 구치소에 수감되어 있었다는 사정을 효력정지를 신청하지 못한 부득이한 사정으로 고려하고 있는 듯하나, 원고가 이 사건 가압류취소결정에 대해 즉시항고를 할 수 있었던 이상 그러한 사유만으로 효력정지를 신청할 수 없었던 부득이한 사정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나아가 법관이나 다른 공무원의 귀책사유로 효력정지를 신청할 수 없었다는 등의 사정도 찾을 수 없다.

다. 그런데도 원심은 위 가.항에서 본 이유를 들어 피고에게 국가배상책임이 있다고 단정하였다. 원심판결에는 재판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3. 결론

피고의 상고는 이유 있어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정희(재판장) 김재형(주심) 안철상 이흥구

arrow

평석

- 2022년 행정법i 중요판례평석 김용섭 大韓辯護士協會

- 부당한 가압류취소결정에 대하여 가압류채권자가 즉시항고하면서 효력정지를 신청하지 않아 가압류등기가 말소되어 배당을 받지 못한 경우 국가배상청구 가부 @ 손해배상기 박진수 서울고등법원 판례공보스터디

- 2022년도 주요 행정법행정판결의 분석과 비판에 관한 소고 김중권 무지개출판사

- 2022년 중요판례분석 ⑦ 민사집행법 박진수 法律新聞社

- 위법한 가압류취소결정에 대한 국가배상에 있어 효력정지 미신청이 책임배제사유가 되는지 여부 @ 대법원 2022 3 17 선고 2019다226975 판결 임성훈 法曹協會

관련문헌

- 윤동현 배당요구를 하였으나 배당이의절차에 참여하지 않은 채권자가 배당금을 과다수령한 제3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 : 대법원 2019. 7. 18. 선고 2014다206983 전원합의체 판결의 검토 저스티스 통권 제193호 / 한국법학원 2023

- 임성훈 위법한 가압류취소결정에 대한 국가배상에 있어 효력정지 미신청이 책임배제사유가 되는지 여부 : 대법원 2022. 3. 17. 선고 2019다226975 판결 법조 통권758호 / 법조협회 2023

- 김용섭 2022년 행정법(I)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제512호 / 대한변호사협회 2023

- 박진수 부당한 가압류취소결정에 대하여 가압류채권자가 즉시항고하면서 효력정지를 신청하지 않아 가압류등기가 말소되어 배당을 받지 못한 경우 국가배상청구 가부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Ⅲ-하: 2021. 7. 1.자 공보 ~ 2021. 12. 15.자. 공보 / 서울고등법원 판례공보스터디 2022

참조판례

- 대법원 2001. 3. 9. 선고 2000다29905 판결

- 대법원 2001. 4. 24. 선고 2000다16114 판결

- 대법원 2001. 10. 12. 선고 2001다47290 판결

- 대법원 2003. 7. 11. 선고 99다24218 판결

- 대법원 2016. 10. 13. 선고 2014다215499 판결

참조조문

-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위헌조문 표시

- 민사집행법 제286조 제7항

- 민사집행법 제287조 제5항 위헌조문 표시

- 민사집행법 제288조 제3항 위헌조문 표시

- 민사집행법 제289조 위헌조문 표시

- 민사집행법 제301조 위헌조문 표시

- 민사집행법 제307조 제2항

본문참조판례

대법원 2001. 3. 9. 선고 2000다29905 판결

대법원 2001. 4. 24. 선고 2000다16114 판결

대법원 2001. 10. 12. 선고 2001다47290 판결

대법원 2003. 7. 11. 선고 99다24218 판결

대법원 2003. 7. 11. 선고 99다24218 판결

대법원 2016. 10. 13. 선고 2014다215499 판결

본문참조조문

-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 민사소송법 제447조

- 민사집행법 제286조 제7항

- 민사집행법 제287조 제5항

- 민사집행법 제288조 제3항

- 민사집행법 제307조 제2항

- 민사집행법 제289조

- 민사집행법 제301조

원심판결

- 서울고법 2019. 3. 22. 선고 2018나2013910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