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부산지방법원 2018.06.29 2018노502
사기
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에 의하면 피고인이 피해자들에게 리베이트 계약 체결 사실을 숨기고 특별 활동비를 과다 청구하여 그 차액을 편취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음에도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판단 이 사건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자세히 검토해 봄과 아울러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① 피고인은 학부모들 로부터 방과 후 과정 반 교육비( 특별 활동비) 로 유치원생 1 인당 월 5만 원씩( 기본 교육비 12만 원에서 정부 지원금 7만 원을 뺀 금액) 수령하여, 유아 음악프로그램을 제공하는 ㈜E에 매월 70만 원의 수업료를 지급하고 그중 27만 원을 현금으로 되돌려 받기는 하였으나, 피고인이 운영하는 이 사건 유치원의 방과 후 과정 반 교육 프로그램에는 ㈜E 가 제공하는 유아 음악프로그램 외에 동화 구연, 미술, 수학, 언어 교육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 있고 유치원생에게 간식 등도 제공되므로, 학부모들 로부터 수령한 월 5만 원의 특별 활동비가 구체적으로 위 각 교육 프로그램 수업료와 간식 비에 얼마 씩 충당되는지 확정할 수 없는 점[ 나 아가 피고인은 유치원생 1 인 당 정부 지원금 7만 원을 포함하여 12만 원의 특별 활동비를 재원으로 방과 후 과정 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므로, ㈜E로부터 되돌려 받은 현금 27만 원이 학부모들 로부터 수령한 돈의 일부인지 정부 지원금의 일부인지 알 수도 없다], ② 더 구나 피고인은 학부모들에게 특별 활동비가 실비목적으로만 사용될 예정이라고 알린 사실이 없고, ㈜E 가 제공하는 음악프로그램에 대해 따로 수업료를 책정하여 알린 적도 없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