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1.14 2015노2484
사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들은 무죄.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사실 오인 내지 법리 오해 주장 H은 자금사정 등으로 스스로 공사를 포기하였고 부실공사 및 공사 지연 등으로 피고인들에게 많은 손해를 입혔기 때문에, 피고인들에게 손해 배상금 등으로 8,460만 원을 지급하기로 약정한 것이고, 그에 따라 피고인들은 이행보증보험계약 상의 보험금을 청구하여 지급 받았을 뿐 피해자 보험회사를 기망한 사실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사실을 오인하거나 법리를 오해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유죄를 인정하였다.

나. 양형 부당 주장 피고인들에 대한 원심의 형( 각 징역 10월) 이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사실 오인 내지 법리 오해 주장에 대한 판단

가.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 A은 E의 대표, 피고인 B은 F의 대표로서 피고인들은 부부이다.

피고인들은 2012. 2. 4. 경 서울 관악구 신대 방역 부근 상호를 알 수 없는 일식집에서 주식회사 G( 이하 ‘G’ 이라고만 한다) 대표이사인 H과 서울 관악구 I, 12호에 지하 1 층, 지상 4 층의 고시원을 신축하는 공사 도급계약을 체결하였다.

G은 2012. 2. 27. 경 피해자 서울보증보험 주식회사와 보험 계약자를 G, 피보험자를 피고인들, 보험금을 8천만 원으로 하는 이행보증보험계약을 체결하였다.

그 후 G이 위 고시원 신축공사를 진행하던 중 자금부족으로 일시 공사를 중단하자, 피고인 B은 2012. 5. 29. 경 H에게 그 동안의 공사비를 모두 지급해 줄 테니 공사를 포기해 달라고 하여 이를 믿은 H과 공사 도급계약을 해지하고 ‘ 공사 포기 각서와 확인 서 ’를 받았다.

피고인들은 2012. 6. 11. 경 위 공사 포기가 공사비 지급을 조건으로 한 쌍방 합의에 의한 포기 임에도 피해자에게 H의 일방적인 공사 포기로 인해 공사 도급계약이 불이 행되었다고

주장하면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