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6.09.02 2016가합70044
임시관리단집회결의무효확인
주문

1. 피고가 2015. 5. 20. C를 관리인으로 선임한 결의는 무효임을 확인한다.

2. 소송비용은 피고가...

이유

1. 기초사실

가. 피고는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합건물법’이라 한다) 제23조에 의하여 설립된 수원시 권선구 D 외 2필지 지상 집합건물 B(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의 관리단이고, 원고는 이 사건 건물의 구분소유자로서 피고의 구성원이다.

나. 피고는 2015. 5. 16.부터 2015. 6. 1.까지 이 사건 건물의 구분소유자들로부터 2015. 5. 20.자로 C를 피고의 관리인으로 선임하는 것으로 결의함에 찬성한다는 내용의 서면결의서를 제출받았는데(이하 ‘이 사건 서면결의’라 한다), 위와 같은 서면으로 행사한 의결권은 별지 기재 표 ‘찬성( /X)'란에 표시가 기재된 부분과 같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4, 5, 9호증, 을 제1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당사자들의 주장

가. 원고의 주장 집합건물법에 따른 관리인선임을 결의하기 위하여는 관리단집회를 개최하여 구분소유자들의 현장결의가 있어야 하고, 가사 서면결의가 허용된다고 하더라도 구분소유자 및 의결권의 각 4/5 이상의 서면에 의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피고는 서면결의를 통해 C를 관리인으로 선임하면서 위 서면결의요건도 충족하지 못하였으므로 이 사건 서면결의는 어느 모로 보나 무효이다.

나. 피고의 주장 집합건물법에 따른 관리인선임 결의 역시 서면결의가 가능하고, 피고는 구분소유자 및 의결권의 각 4/5 이상의 서면에 의한 적법한 합의를 거쳐 C를 피고의 관리인으로 선임하였으므로 이 사건 서면결의는 유효하다.

3. 판 단 집합건물법 제41조 제1항은 "관리단집회에서 결의할 것으로 정해진 사항에 관하여 구분소유자 및 의결권의 각 5분의 4 이상의 서면에 의한 합의가 있는 때에는 관리단집회의 결의가 있는 것으로 본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