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7.11.28 2016나3760
부당이득금
주문

1. 제1심 판결의 원고 M, N, O, Q, R, S, X, AA, AB, AC, AF, AG, AH, AJ, AK에 대한 부분 중 아래에서 지급을...

이유

1. 이 법원의 심판범위 원고들과 환송 전 당심 원고인 P, T, V, W, Y, Z, AE(이하 ‘환송 전 당심 원고들’이라 한다)은 피고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하였고, 제1심은 원고들과 환송 전 당심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였다.

이에 원고들과 환송 전 당심 원고들이 항소하였는데, 환송 전 당심은 원고들의 패소부분 중 일부를 취소하고, 피고에게 별지 [표] 환송 전 당심 인용금액란 기재 각 금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명하였고, 환송 전 당심 원고들의 항소를 각 기각하였다.

이에 대하여 원고들과 환송 전 당심 원고들 및 피고가 상고하였고, 대법원은 환송 전 당심 판결 중 원고 N, O, Q, R, S, AA, AB, AC, AF, AG, AH, AJ, AK 부분 및 원고 M, X의 패소부분을 각 파기하고 이 법원에 환송하였고, 환송 전 당심 원고들의 상고 및 피고의 원고 M, X에 대한 상고를 모두 기각하였다.

이로써 환송 전 당심 원고들의 청구 부분은 대법원의 상고기각 판결에 의하여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확정되었고, 그에 따라 환송 후 당심의 심판범위는 원고들의 청구 부분에 한정된다.

2. 기초사실

가. 도시계획시설(도로) 결정 및 실시계획 인가 등 1) 피고는 원고들이 소유 또는 거주하는 주택이 소재하고 있던 광명시 A 일원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 B 일원을 사업지구로 하는 폭 35m 내지 44m, 연장 4,235m의 C고속도로(D공구) 건설공사 사업(이하 ‘이 사건 사업’이라고 한다

)의 시행자이다. 2) 이 사건 사업으로 건설되는 C고속도로는 2002. 5. 30. 서울특별시 고시 E로 도시계획시설(도로)로 결정되고, 2008. 11. 13. 서울특별시 고시 F 및 2008. 11. 28. 광명시 고시 G로 실시계획이 인가되었으며, 2009. 3. 12. 서울특별시 고시 H 및 2009. 4. 2. 광명시 고시 I로 사업구역에 일부 토지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