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구지방법원 2021.04.29 2020노1076
사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을 징역 11개월에 처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사실 오인 피고인은 피해자들 로부터 돈을 차용할 당시 변제할 의사나 능력이 있었으나 차용 후 사정변경이 생겨 변제하지 못한 것이므로 편취의 범의가 없고, 상당한 금액을 변제하였으므로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나. 양형 부당 원심이 피고인에게 선고한 형( 징역 1년) 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사실 오인 주장에 대한 판단 1) 원심은 ① 피고인이 투자 처 내지 용도를 기망하여 피해자들 로부터 금원을 취득한 점 ② 피해자들에게 고지한 것과 다른 방식, 즉 돌려 막 기 등의 방식으로 투자 받은 돈을 변제하였고, 변제한 돈도 최초 고지한 수익금에 미치지 못하는 점 ③ 차 용 당시 약정한 기한 내지 조건대로 변제하지 못한 점 등을 들면서 이 사건 공소사실을 모두 유죄로 판단하였다.

2) 이미 과다한 부채의 누적으로 변제의 능력이나 의사마저 극히 의심스러운 상황에 처하고서도 이러한 사실을 숨긴 채 피해자들에게 사업에의 투자로 큰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속 여 금전을 차용한 후 이를 주로 상환이 급박해 진 기존 채무 변제를 위한 용도에 사용한 사실이 인정된다면 금전 차용에 있어서 편취의 범의가 있었다고

볼 수 있고(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도2588 판결 참조), 타인과의 금전 거래에서 그 금전의 용도 나 변제할 자금의 마련방법에 관하여 사실대로 고지하였다면 상대방이 응하지 않았을 상황에서 그 용도 나 변제자금 마련방법에 관하여 진실에 반하는 사실을 고지하여 금전을 교부 받은 경우 사기죄가 성립하고 이때 담보를 제공하거나 자력 있는 보증인이 연대보증을 하였다는 사정만으로 다르게 볼 것은 아니다( 대법원 2005. 9. 15. 선고 2003도5382 판결 참조). 3) 원심이 설 시한 위와 같은 사정에 다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