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지방법원 2016.02.17 2015노1776
횡령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은 무죄. 피고인에 대한 판결의 요지를 공시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피고인은 피해자 마을의 이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피해자 마을에 필요한 경비로 200만 원 정도를 자비로 선부담하였는바 마을 주민들 로부터 동의를 받고 피해자 마을 명의의 농협 통장( 이하 ‘ 이 사건 통장’ 이라 한다 )에서 위와 같이 선부담한 돈 상당액을 인출한 것이므로 공금 횡령의 고의 및 불법 영득의 의사가 없었다.

그럼에도 피고인을 유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사실 오인 및 횡령의 고의 및 불법 영득의 사의 존 부에 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2.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은 2004. 3. 경부터 2012. 2. 9.까지 전 남 보성군 C 이장으로 재직하면서 피해자 마을을 위하여 피해자 마을 소유의 자금을 이 사건 통장에 보관하면서 그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여 왔다.

피고인은 2012. 2. 9. 마을 총회에서 E이 이장으로 선출되었음에도 계속해서 위 통장을 보관하고 있음을 기화로, 2012. 2. 27. 문덕면 소재 북부 농협 문 덕 지소에서 위 통장에서 200만원( 이하 ‘ 이 사건 돈’ 이라 한다) 을 임의로 인출하여 개인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피해자의 재물을 횡령하였다.

3. 판단 원심 및 당 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을 종합해 보면, 피고인이 피해자 마을 총회의 동의를 얻어 이 사건 돈을 인출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이 사건 돈을 횡령하였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

따라서 피고인의 주장은 이유 있다.

① 피고인은 이 사건 돈을 인출하게 된 경위에 대해 ‘2012. 2. 9. 경 피해자 마을 총회에서 고소인 E 이 새 이장으로 뽑힐 당시 피고인이 자비로 200만 원 정도를 마을 경비로 사용하였다고

보고 하고...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