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8.04.24 2017구단56974
양도소득세 부과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1998. 11. 21. B, C으로부터 전남 목포시 D 임야 3,661㎡(이하 ‘이 사건 임야’라 한다)를 취득하여 보유하다가, 2015. 12. 9. E 외 3인에게 이를 양도(이하 ‘이 사건 양도’라 한다)하였고, 이 사건 양도에 관하여 2016. 2. 29. 피고에게 양도가액을 330,000,000원, 취득가액을 220,000,000원으로 하여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및 세액을 신고납부하였다.

나. 피고는 2016. 6. 13.부터 같은 해

9. 28.까지 이 사건 양도에 관하여 세무조사를 실시한 뒤, 원고가 위 양도소득세 신고 당시 제출한 이 사건 임야에 관한 매매(취득)계약서(을 제2호증, 이하 ‘이 사건 매매계약서’라 한다)는 허위로 작성된 것이고 달리 취득가액을 증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빙자료가 없어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인정 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원고가 신고한 취득가액을 부인하고 구 소득세법(2016. 12. 20. 법률 제1438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114조 제7항에 따라 이 사건 임야의 취득가액을 40,679,724원[환산가액 = 양도가액 × (취득 당시 공시지가/양도 당시 공시지가) 330,000,000원 × 5,350/43,400(원/㎡), 소득세법 시행령 제176조의2 제2항 제2호에 따르면, 환산가액은 ‘양도 당시의 실거래가액 × 취득 당시 기준시가/양도 당시 기준시가’이나, 기준시가는 공시지가를 기초로 산정되므로, 그 결론에는 차이가 없다. ]으로 결정하여, 2016. 11. 1. 원고에 대하여 2015년 귀속 양도소득세 98,402,440원(가산세 포함)을 경정고지하였다

(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 다.

원고는 이 사건 처분에 불복하여 2016. 11. 11. 조세심판원에 심판청구를 하였으나, 조세심판원은 2017. 3. 15. 원고의 심판청구를 기각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3,...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