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6.07.08 2015노539
횡령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사실 오인) G에게 부과될 양도 소득세를 피해자 등의 매수인 측이 부담한다는 약정이 없었던 점, 피해자가 이 사건 돈을 지급한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된 후에 G에게 양도 소득세가 부과된 점, 피고인은 피해 자의 투자금보다 낙찰대금이 상승할 경우, 피해자가 그 상승분에 해당하는 돈 또는 취득 지분 전매 시 실질적으로 부담하지 않게 될 양도 소득세에 해당하는 돈을 피고인에게 지급하기로 하는 약정에 따라 이 사건 돈을 교부 받은 것인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이 사건 돈은 G의 양도 소득세를 지급할 목적으로 수수된 것이 아니므로, 피고인과 피해자 사이에 위탁관계가 성립하지 않아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2. 판단 원심과 당 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해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을 종합하면, 피고인이 공소사실과 같이 피해자의 돈을 횡령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① 피해자는 이 사건 당시 피고인이 G이 납부해야 할 양도 소득세가 당초 예상한 것보다 많이 부과되었으니 피해자를 포함한 투자자들이 이를 부담해야 한다고 말하여 그와 같은 용도로 돈을 송금하였다고

수사기관에서부터 당 심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진술하고 있다.

② 당 초 피해자가 G에게 부과될 양도 소득세를 부담하기로 하는 약정이 없었더라도, 피고인은 피해자 등 투자자들이 당초 투자하기로 한 돈을 초과한 합계 3,918,000,000원에 이 사건 부동산을 낙찰 받기로 하였는데, 이러할 경우 G은 낙찰대금과 당초 투자금의 차액 상당의 대금에 대한 양도 소득세를 더 부담하게 되고, 피해자는 부동산의 지분을 취득하여 이를 다시 매도할 경우 낙찰대금과 투자금의 차액 상당의 대금에 대한 양도 소득세를 절세하게 되므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