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서부지방법원 2016.09.29 2016가단210644
근저당권말소등기의 회복등기
주문

1. 원고의 피고 부동산투자전략연구소 주식회사에 대한 소를 각하한다.

2. 원고의 피고 B, C에...

이유

1. 기초사실

가. 소외 E는 2005. 4. 26. 소외 F로부터 이 사건 토지 및 그 지상 다가구용 단독주택 건물을 일괄 매수하여 같은 날 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고, 같은 해

5. 13. 위 건물에 관하여 다가구용 단독주택 및 근린생활시설(일반건물)에서 다세대주택(집합건물)으로 구분 및 용도변경신청을 하였다.

나. 그에 따라 위 건물에 관하여 2005. 5. 20. 집합건축물대장이 신규 작성되고, 같은 달 23. 위 건물의 전유부분 총 5세대(제비01호, 제101호, 제201호, 제202호, 제301호)에 관하여 이 사건 토지를 대지권의 목적인 토지로 하여 각 집합건물등기부가 개설되었다

(이하 위 건물을 ‘이 사건 집합건물’이라 한다). 그러나 위 집합건물등기부상 ‘대지권의 표시등기’ 및 이 사건 토지의 등기부상 ‘대지권이라는 뜻의 등기’는 마쳐지지 아니하였다.

다. E는 2005. 5. 20. 이 사건 집합건물의 전유부분 5세대를 전부 매도하고 같은 달 23. 각 전유부분에 관하여 각 매수인들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주었으나,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는 소유권이전등기 및 대지권이라는 뜻의 등기를 하지 마치지 아니하고 그 소유명의자를 그대로 E로 남겨두었다. 라.

한편, 원고는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2008. 10. 7. 채무자 E, 근저당권자 원고, 채권최고액 2억 원으로 하는 근저당권설정등기(이하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등기’라 한다)를 마치고, 위 근저당권에 기하여 2009. 3. 12. 서울서부지방법원 G로 임의경매신청을 하였다.

그에 따라 개시된 경매절차(이하 ‘이 사건 경매절차’라 한다)에서 소외 H, I, J(이하 ‘H 등’이라 한다)가 공동으로 최고가매수인이 되어 같은 해

9. 23. 매각대금을 완납한 다음, 같은 해 10. 1.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각 1/3지분의 비율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