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남부지방법원 2019.02.15 2017가단230080
소유권말소등기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자녀로 1남 6녀를 두었는데, D, E, F, G, C 및 피고는 원고의 딸이고, H은 원고의 아들이다.

나. 원고는 2000. 2. 28. 원고 소유의 별지 목록 기재 각 부동산 중 제1, 3항 기재 각 부동산(이하 별지 목록 기재 각 부동산 중 제1항 부동산을 ‘이 사건 1 부동산’, 제2항 부동산을 ‘이 사건 2 부동산’ 등이라 하고, 전체를 통틀어 지칭할 때는 ‘이 사건 각 부동산’이라 한다)에 관하여 H 앞으로 2000. 2. 21.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해 주었다.

다. 한편 원고는 2003. 2. 22. 이 사건 1 부동산 위에 이 사건 2 부동산인 주택을 신축하여 H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를 하였다. 라.

그 후 이 사건 1, 2, 3 부동산에 관하여는 2003. 2. 22. C 앞으로 2003. 2. 21.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었다가, 2011. 3. 21. 피고 앞으로 2011. 3. 18.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었다.

마. 이 사건 4, 5 부동산에 관하여는 2003. 2. 22. C 앞으로 2003. 2. 21. 매매를 원인으로 하여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었다가, 2011. 3. 23. 피고 앞으로 2011. 3. 18.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9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당사자의 주장

가. 원고 1) 주위적 청구 이 사건 각 부동산은 모두 원고의 소유인데, 원고는 그 중 이 사건 1, 2, 3 부동산은 H을 거쳐 C에게, 이 사건 4, 5 부동산은 C에게 각 명의신탁하였다. 그런데 H 및 C 명의의 각 소유권이전등기는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이하 ‘부동산실명법’이라 한다

에 따라 무효인 등기이고, 이에 터잡은 피고 명의의 각 소유권이전등기 역시 무효이다.

그러므로 원고는 진정한 소유자로서 피고에 대하여 진정한 등기명의의 회복을 원인으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