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부천지원 2016.08.12 2016가단104311
부당이득금반환
주문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강릉시장의 원고에 대한 보조금 지급 1) 강릉시장은 원고가 강릉시 대전동 916-5(강릉과학산단 블록 가-16-4, 5, 6)를 임대하여 원고의 본점 및 공장(이하 ‘강릉공장’이라 한다

)을 신축하여 이전하면서 수도권기업 지방이전에 따른 재정자금 지원을 신청을 하자 적합성을 검토한 후 2010. 3.경 강원도지사에게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19조 제1항, 동법 시행령 제17조, 구 지방자치단체의 지방투자기업 유치에 대한 국가의 재정자금 지원기준(지식경제부고시 제2009-335호, 이하 ‘지원기준’이라고만 한다

) 제7조, 제9조, 제9조의2에 따라 입지보조금 102,720,000원, 투자보조금 450,000,000원을 신청하였다. 2) 강원도지사는 그 무렵 피고의 신청에 따라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위 각 보조금을 신청하였고, 지식경제부장관은 2010. 4. 28. 강원도에게 원고에 대한 입지 및 투자보조금으로 491,307,000원을 지급하였으며, 강원도지사는 2010. 4. 30. 강릉시장에게 지식경제부장관으로부터 교부받은 국비 491,307,000원, 강원도비 61,413,000원을 각 지급하였다.

3) 강릉시장은 입지 및 투자보조금으로 2010. 5. 25. 원고에게 교부받은 국비 및 도비 합계 552,720,000원, 2010. 7. 19. 강릉시가 부담하는 시비 61,413,000원을 각 지급하였다(이하 이와 같이 강릉시장이 원고에게 지급한 입지 및 투자보조금 전체를 ‘이 사건 보조금’이라 한다

). 나. 원고에 대한 회생절차와 강릉공장 사업 중단 1) 원고는 2013. 4. 29. 인천지방법원 2013회합20호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라 회생 신청을 하였고, 2013. 5. 28. 위 법원으로부터 회생절차 개시결정을 받았다.

2 피고 소속 공무원인 A, B는 2013. 8. 14. 지원기준 제14조, 제16조 등에 따라 원고의 강릉 공장 가동 여부를 실사하였는데,...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