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05.16 2018노3979
전자금융거래법위반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을 징역 2년에 처한다.

압수된 5만원권 346매(증 제1호)를...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피고인(양형부당) 원심이 피고인에게 선고한 형(징역 1년 4월)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나 검사(양형부당) 원심이 피고인에게 선고한 형은 너무 가벼워서 부당하다.

2. 직권판단 항소이유에 관한 판단에 앞서 직권으로 살피건대, 피고인은 2018. 11. 21.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사문서위조, 위조사문서행사죄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아 2019. 3. 19. 그 판결이 확정되었다.

원심이 피고인에 대하여 판시한 죄와 위 판결이 확정된 죄는 형법 제37조 후단의 경합범 관계에 있어 형법 제39조 제1항에 따라 동시에 판결할 경우와 형평을 고려하고 형의 감경 또는 면제 여부까지 검토한 후에 형을 정하여야 하므로, 원심판결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

3. 결론 그렇다면 원심판결에는 위와 같은 직권파기사유가 있으므로, 피고인과 검사의 양형부당 주장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형사소송법 제364조 제2항에 따라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변론을 거쳐 다시 다음과 같이 판결한다.

[다시 쓰는 판결 이유] 범죄사실 및 증거의 요지 이 법원이 인정하는 범죄사실 및 증거의 요지는, 원심판결 제1면의 범죄사실 첫머리에 “피고인은 2018. 11. 21.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사문서위조, 위조사문서행사죄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아 2019. 3. 19. 그 판결이 확정되었다.”를 추가하고, 제2면 제10행의 “계좌번호 I”을 “계좌번호 BT”로 정정하며, 제3면의 증거의 요지 말미에 “1. 판시 전과: 판결문(서울남부지방법원 2018고단2199), 대법원 사건검색 출력물, 검찰 KIGS 출력물”을 추가하는 것 외에는 원심판결의 각 해당란 기재와 같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69조에 따라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법령의 적용

1. 범죄사실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