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10.21 2019나66585
소유권말소등기
주문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소송 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이유

1. 기초사실

가. 일제강점기 토지조사사업에 의하여 작성된 토지조사부에 따르면 분할 전 수원군 C 전 661평은 D가 사정을 받은 것으로 기재되어 있고, 위 토지는 화성시 S 답 27평, B 도로 111평(이후 367㎡로 면적단위 환산이 이루어졌다. 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 T 답 523평으로 분할되었다.

나. 원고의 선대인 D는 위 수원군 U리에 본적을 두고 생활하다가 1943. 5. 20.경 사망하였고, 이에 따라 그 아들인 E가 호주상속과 함께 이 사건 토지를 단독으로 상속 받았고, E가 1951. 10. 21. 사망함에 따라 그 모인 F이 호주상속과 함께 이 사건 토지를 단독으로 상속 받았다.

다. 이후 F이 1964. 8. 30. 사망함에 따라 이 사건 토지는 장남 E와 차남 G에게 각 1/2지분씩 공동으로 상속되었는데, E는 위 F 사망 이전인 1951. 10. 21., G는 1949. 10. 30. 각 사망하여 이 사건 토지는 그들의 상속인들에게 아래와 같이 각 대습상속되었다.

E의 1/2지분: 장남 H이 단독상속하게 되나, H이 1950. 10. 3. 먼저 사망하여 직계비속인 아들 I과 딸 J이 공동으로 상속함. G의 1/2지분: 장남 K이 단독상속하게 되나, K이 1964. 8. 30. 먼저 사망하여 위 지분을 호주상속을 받은 장남 L, 처 M과 딸 N, O, P이 공동으로 상속함. 그런데 처 M이 1994. 7. 30. 사망하여 M의 상속분을 장남 L, 딸 N, O, P이 공동으로 상속함. 이후 L가 2001. 9. 29. 사망하여 L의 상속분을 처 Q, 아들 원고 및 R이 공동으로 상속함. 라.

한편, 이 사건 토지에 관한 지적공부는 625 전란을 거치면서 소실되었는데, 이후 복구된 토지대장에는 D가 이 사건 토지의 소유자로 기재되어 있었다.

마. 이 사건 토지는 화성군수의 1993. 12. 18.자 무주부동산 공고를 거쳐 국유재산법에 의거하여 토지대장상 피고 앞으로 1995. 11. 27. 소유자 등록이 이루어졌고,...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