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서부지방법원 2020.01.09 2019나30796
소유권이전등기
주문

1. 제1심판결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가.

피고는 원고들에게 별지 목록 제2항 기재 부동산의...

이유

1. 인정사실

가. 1955. 9. 1. 서울 용산구 G(이하, ‘분할 전 G’라 한다)는 C 대 222.5㎡(이하, ‘C’이라 한다)와 I 대 30.7㎡(2009. 1. 28. 36.6㎡로 면적이 정정되었다)(이하, ‘분할 전 I’라 한다) 외 4필지로, 인접한 서울 용산구 H는 H 대 89.2㎡와 D 대 22.8㎡(이하, ‘D’라 한다) 외 1필지로 분할되었는데, 당시 C과 D에 걸쳐 목조와즙 평가건 주택 겸 점포 건평 27평 3홉 3작과 부속 목조와즙 평가건 공장 1동 건평 13평 7홉 7작이 존재하였는데 위 건물의 외벽은 C과 분할 전 I의 경계에 위치하였다.

나. 분할 전 I는 1948. 9. 11. 권리귀속을 원인으로 1964. 3. 3. 피고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고, E은 1958. 9. 26. C과 D 및 위 지상 목조와즙 평가건 주택 겸 점포, 부속 목조와즙 평가건 공장 1동에 관하여 1958. 9. 26. 매매를 원인으로 1966. 8. 3.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1967. 5. 23. 위 평가건 주택 겸 점포는 2층의 목조 및 시멘트벽돌조 기와지붕 및 컹크리트조 스라브2층 주택 겸 영업소로, 부속 공장1동은 목조 기와지붕 평가건 주택 1동으로 증축등기되었다

(이하, 위 각 주택은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 다.

E은 1983. 5. 15. 사망하여 위 C과 D 및 이 사건 건물은 E의 배우자인 F과 E의 장남인 원고 A에게 각 3/10지분, E의 나머지 자녀들인 원고 B 및 K에게 각 2/10지분으로 상속되었고, K의 지분은 1996. 7. 12. 증여를 원인으로 1997. 7. 11. F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라.

한국자산관리공사의 2009년 국유재산 실태조사시 분할 전 I는 아래 도면과 같이 윗부분은 세로로 담장이 설치되어 있었고, 중간 부분에 가로로 철제문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위 철제문과 담장을 기준으로 C에 인접한 부분 17.8㎡(이하, ‘분할 전 I 중 ①부분’이라 한다)는 이 사건 건물과 함께 이...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