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창원지방법원 2019.09.26 2019노717
청소년보호법위반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사실오인) 피고인은 D가 청소년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하였으므로, 피고인에게 청소년보호법 위반죄의 고의가 없었다.

2. 판단

가. 관련 법리 구 청소년 보호법(2018. 12. 11. 법률 제159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류 등 청소년 유해약물의 판매 등을 금지하면서, 청소년 유해약물 등을 판매하고자 하는 자에게 상대방의 나이를 확인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제28조 제1항, 제3항). 객관적으로 보아 출입자를 청소년으로 의심하기 어려운 사정이 없는 한 청소년일 개연성이 있는 연령대의 출입자에 대하여 주민등록증이나 이에 유사한 정도로 연령에 관한 공적 증명력이 있는 증거에 의하여 대상자의 연령을 확인하여야 한다.

업주 및 종사자가 이러한 연령확인 의무를 위반하여 연령확인을 위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업주 및 종사자에게 최소한 위 법규정 위반으로 인한 청소년 보호법 위반죄의 미필적 고의는 인정된다(대법원 2006. 7. 27. 선고 2006도3713 판결 참조). 나.

판단

원심에서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면 인정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사실과 사정을 위 법리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에게 미필적으로나마 청소년에게 주류를 판매한다는 점에 대한 고의를 인정할 수 있다.

피고인의 주장은 이유 없다.

1) 관련 법리에 따르면, 편의점 업주는 청소년일 개연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연령대의 출입자가 주류 등 유해약물을 구입하려는 경우, 그 출입자에 대하여 연령을 확인할 의무가 있다고 봄이 상당하다. 2) 이 사건 편의점에서 주류를 구매한 D는 2003년생으로 주류 구매 당시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이었다.

3 D의 생물학적 나이, CCTV를 통해 확인되는 D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