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전지방법원 2015.12.10 2015노186
변호사법위반
주문

검사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 요지(사실오인) 검사가 제출한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이 2011. 12. 8.부터 2012. 7. 10.까지 당진시 C에 있는 D 어촌계 소속 어선 선주들로부터 ‘평택항 준설토로 석문국가산업단지 매립, 하역시설물 설치 및 배수관문, 펌프장 설치가동으로 인한 어업피해’ 보상사건(이하 ‘평택항 피해보상 사건’이라 한다) 및 ‘대산항 정박지 및 항로확장 및 유지준설로 인한 어업피해’ 보상사건(이하 ‘대산항 피해보상 사건’이라 한다) 보상금 지급 관련 업무 수행 명목으로 145회에 걸쳐 32,185,390원을 지급받아, 변호사가 아니면서 기타 일반 법률 사건의 법률사무를 취급하여 주고 그 대가로 금품을 교부받았다고 충분히 인정된다.

2. 판단

가.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는 금품ㆍ향응 기타 이익 수수 또는 그 약속행위가 있어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위 조항에서 규정한 ‘이익’은 비변호사의 법률사무 취급을 금하는 위 법의 입법 취지 등에 비추어 볼 때 실비변상을 넘는 경제적 이익에 한한다고 해석하여야 하고, 단순한 실비변상을 받은 것에 불과한 때에는 위 법 소정의 법률사무 취급이 있어도 범죄가 된다고 할 수 없다

(대법원 2008. 4. 11. 선고 2008도1655 판결, 2004. 4. 28. 선고 2003도7481 판결 등 참조). 나.

원심은, ① 피고인이 D 어촌계장으로서 다른 어촌계장들과 함께 이 사건 각 보상사건을 비롯한 어업피해 보상사건에 관하여 보상 주체 측 요구나 개별 선주들의 요청에 따라 관행적으로 보상업무를 대리하였던 점, ② 피고인은 당초 선주들로부터 위임을 받으면서 개별 선주들에게 일체 소요경비는 선주들이 부담하여야 한다고 명시하였을 뿐, 피고인이 받을 이득액이나 수고비를 명시하지는 않았고, 위임장을 받을 당시에는 개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