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9.08.14 2018다226190
구상금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은, 자동차보험 구상금분쟁심의에 관한 상호협정(이하 ‘이 사건 상호협정’이라 한다) 제28조에 의하면 심의위원회와 재심의위원회가 한 조정결정은 그 주문이 청구인과 피청구인에게 구속력을 가질 뿐이므로, 원고와 피고가 이 사건 상호협정을 근거로 서로 상대방을 피청구인으로 하여 제기한 각 심의청구 사건에서 확정된 이 사건 조정결정의 주문에 심의 대상인 원고차량과 소외 화물차의 과실비율만 기재되어 있다면, 그 이유에 기재된 피고차량의 과실비율 부분은 이 사건 소송에서 원고차량과 피고차량 사이의 법률관계를 확정하거나 그에 관한 판단에 어떠한 구속력도 가질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이 인정한 이 사건 상호협정의 내용 등에 의하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이 사건 조정결정의 구속력이 미치는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손해배상사건에서 과실상계나 손해부담의 공평을 기하기 위한 책임제한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을 정하는 것은 그것이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하게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사항에 속한다

(대법원 2008. 11. 27. 선고 2008다31751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에 비추어 원심판결이 원용한 1심판결 이유를 살펴보면,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원고차량과 피고차량의 과실비율을 각 80%, 20%로 정한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과실비율 평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은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