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부산지방법원동부지원 2016.05.25 2015가단212666 (1)
집행판결
주문

1. 원고와 피고 사이의 일본국 동경지방재판소 평성 25년(와) 제23815호 대금청구사건에 관하여,...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일본국 동경지방재판소에 대금(貸金)청구의 소[평성25년(와)제23815호{東京地方裁判所 平成25年(ワ)第23815}]를 제기하였고, 위 법원은 2014. 10. 14. 별지 판결문 기재와 같은 판결을 선고하였다

(이하 ‘이 사건 일본국 판결’이라고 한다). 나.

피고는 위 판결에 대하여 항소를 제기하였고, 피고의 항소기각으로 이 사건 일본국 판결은 2015. 3. 28. 확정되었다.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4, 5, 6호증의 각 기재, 변론의 전취지

2. 판단

가. 외국판결의 승인, 집행요건의 충족여부 (1) 외국법원의 판결이 우리나라에서 승인, 집행되기 위해서는 민사소송법 제217조에 규정된 요건, 즉 외국법원의 확정판결로서 ① 대한민국의 법령 또는 조약에 따른 국제재판관할의 원칙상 그 외국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이 인정될 것(제1호), ② 패소한 피고가 소장 또는 이에 준하는 서면 및 기일통지서나 명령을 적법한 방식에 따라 방어에 필요한 시간 여유를 두고 송달받았거나 송달받지 아니하였더라도 소송에 응하였을 것(제2호), ③ 그 판결의 효력을 인정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이나 그 밖의 사회질서에 어긋나지 아니할 것(제3호), ④ 상호보증이 있을 것(제4호)을 충족하여야 한다.

(2) 이 사건의 경우, ① 이 사건 대여금채권의 채권자인 원고가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인이고, 원고와 피고 사이의 금전거래가 일본에서 이루어졌으므로 일본국 법원은 이 사건 일본국 판결의 사건에 관하여 국제재판관할권이 인정되고(국제사법 제2조 참조), ② 피고가 위 판결의 사건에서 강박에 의한 무효를 주장하면서 피고 본인신문을 하기도 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는 위 법원으로부터 적법한 방식에 따라 위 사건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