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5.06.12 2014나2044855
근저당권말소
주문

1. 당심에서 교환적으로 변경된 청구에 따라, 피고는 원고에게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에...

이유

1. 기초사실

가.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에 대한 근저당권 설정 및 이전 1) 원고와 H(개명전 성명: D)는 2006. 6. 30. C으로부터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이하 ‘이 사건 아파트’라 한다

)을 8억 6,000만 원에 매수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7. 13. 접수 제52827호로 각 1/2지분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2) 원고는 C에 대한 이 사건 아파트 매매잔금 3억 1,000만 원의 지급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C이 지정하는 C의 조카 E 명의로 이 사건 아파트에 관한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쳐주기로 하였다.

3) 위 약정에 따라 이 사건 아파트에 관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7. 13. 접수 제52828호 채권최고액 3억 1,000만 원, 채무자 원고, 근저당권자 E로 된 근저당권설정등기가 마쳐졌다(이하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등기’라 한다

). 4) 원고는 2006. 7. 19. C에게 이 사건 아파트 매매잔금 중 1억 원을 지급하고, 2006. 12. 26.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등기의 채권최고액을 2억 1,000만 원으로 변경하는 내용의 서울중앙지방법원 접수 제99145호 근저당권변경등기를 마쳤다.

5) 2006. 12. 26. 이 사건 근저당권을 C의 딸인 피고 명의로 이전하는 내용의 ‘2006. 11. 29.자 계약양도’를 원인으로 한 근저당권이전등기가 서울중앙지방법원 접수 제99146호로 마쳐졌다(이하 '이 사건 근저당권이전등기'라 한다

). 나. 원고와 C 사이의 이 사건 아파트 매매대금 정산 1) 이 사건 아파트는 2006. 5. 12.경 완공되어 같은 해

6. 15.경 C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졌다.

C은 이 사건 아파트를 시공한 주식회사 포스코건설(이하 ‘포스코건설’이라 한다)에 대한 계약금액 1,274,695,150원 상당의 공사대금 채무 등을 변제하지 못하였다.

이에 포스코건설은 2006. 7. 25.경부터 이 사건 아파트를 점유하여...

arrow